국내 최초 ‘국방로봇체계 전력화’…2700억원 규모
지뢰 탐지·IED 탐지 제거 모두 가능한 ‘세계 최초 장비’
[미디어펜=박준모 기자]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내 최초로 국방 로봇체계 양산에 돌입한다. 앞으로 위험한 임무에 로봇이 투입돼 병력의 안전을 확보하고, 군 입대 자원 감소 문제도 장기적으로 기술로 대응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위사업청과 약 2700억 원 규모의 ‘폭발물 탐지제거로봇’ 양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폭발물 탐지제거로봇은 원격으로 지뢰를 탐지하고 급조폭발물(IED)도 탐지 및 제거하는 임무를 맡는다. 이번 사업은 대한민국군에 국산 국방 로봇이 전력화되는 첫 사례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폭발물탐지로봇./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올해부터 양산에 들어가는 폭발물 탐지제거로봇은 작전 상황에 맞춰 모듈을 교체해 운용할 수 있다. 기본 탑재된 집게 조작팔과 감시장비는 360도의 모든 방향에서 위험물을 다룰 수 있으며, 작전상황에 따라 X-레이 투시기·지뢰탐지기·무반동 물포총·산탄총·케이블 절단기·유리창 파쇄기 등도 부착해 활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장병들이 직접 지뢰탐지기를 들고 탐색하거나, 급조폭발물을 제거하기 위해 제거조가 위험 지역에 직접 투입되는 방식이 주를 이뤘다. 일부 외국산 로봇을 도입한 적도 있지만 소수 도입에 그쳐 실질적 대체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방위사업청 등 정부는 전장의 무인화 추세와 기술 발전 상황을 고려해 2017년부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 폭발물 탐지제거로봇 탐색개발을 착수했으며, 2023년 체계개발을 완료했다.

이번 사업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무인화 기술 역량이 반영됐다. 회사는 다목적무인차량 ‘아리온스멧’, 자체 개발한 차세대 무인차량 ‘그룬트’, 다양한 무인차량(UGV) 등을 통해 20여 년 간 국방로봇을 개발해 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정부와 함께 기존 다목적무인차량에서 쌓아온 다양한 무인화 기술 역량을 결집해 이뤄낸 성과로 대한민국의 국방력 강화는 물론 향후 해외시장 진출도 적극적으로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소·중·대형급의 차륜형과 궤도형 UGV 제품군을 모두 확보하고 글로벌 UGV 시장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달 들어서는 폴란드 군용 자동차 및 장갑기술연구소(WITPIS)와 ‘유무인 군용 무인차량(UGV)’과 관련한 상호협력 MOU를 체결하면서 폴란드 육군 현대화 사업에 본격 참여한다는 계획이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