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꺾인 듯 했던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또다시 대폭 늘어나며 가계부채 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증가했는데, 통상 계절적 요인 여파로 가계대출이 늘어나는 시기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안심할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국은 대출 증가폭이 크게 늘어난 만큼, 향후 대출동향을 주의 깊게 본다는 입장이다.
|
 |
|
▲ 꺾인 듯 했던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또다시 대폭 늘어나며 가계부채 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증가했는데, 통상 계절적 요인 여파로 가계대출이 늘어나는 시기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안심할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국은 대출 증가폭이 크게 늘어난 만큼, 향후 대출동향을 주의 깊게 본다는 입장이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10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약 4조 7000억원 증가하며 전월 2조 3000억원 증가 대비 약 2조 4000억원 급증했다. 이는 전년 동월 9조 7000억원 증가에 견주면 증가폭이 급감한 수치이지만, 최근 고강도 대출규제 여파로 대출 증가폭이 한풀 꺾였던 점을 고려하면 다소 우려스러운 기록이다.
올해 금융권 가계대출 증감액을 살펴보면 △2월 4조 2000억원 증가 △3월 7000억원 증가 △4월 5조 3000억원 증가 △5월 5조 9000억원 증가 △6월 6조 5000억원 증가 △7월 2조 3000억원 증가 등을 기록했다. 7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규제 시행을 앞두고 6월에 급증한 이후 7월부터 증가세가 한풀 꺾였는데, 다시금 가계대출이 급증한 것이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 관계자는 "신학기 이사 수요 등 계절적 요인 외에도 8월 이전에 늘어난 주택거래량이 시차를 두고 금융권 주담대에 반영되면서 주담대 증가규모가 다소 확대된 것에 기인한다"며 "휴가철 자금수요 등에 따라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한 기타대출 감소폭이 전월에 비해 축소된 것도 8월 가계대출 증가규모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
 |
|
▲ 대출항목별 가계대출 증감 추이./자료=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제공 |
대출별로 살펴보면 주담대는 5조 1000억원 증가해 전달 4조 2000억원 증가 대비 증가폭이 약 9000억원 확대됐다. 은행권에서 3조 9000억원, 제2금융권에서 1조 3000억원 각각 증가하며 전달 대비 모두 증가폭이 확대됐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약 4000억원 감소하며 전달 1조 9000억원 감소 대비 감소폭이 크게 축소됐다. 이는 신용대출 감소폭이 전달 1조 1000억원 감소에서 3000억원 감소로 대폭 축소된 까닭이다.
가계대출 증가폭을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8월 은행권 가계대출은 4조 2000억원 증가해 전달 2조 8000억원 증가 대비 약 1조 4000억원 급증했다. 구체적으로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폭은 2조 2000억원에서 2조 7000억원으로 확대됐고,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성대출은 전달과 대동소이한 1조 2000억원 증가를 기록했다. 기타대출은 6000억원 감소에서 3000억원 증가로 전환했다.
8월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6000억원 증가를 기록해 전달 5000억원 감소에서 증가 전환했다. 상호금융권이 전월 4000억원 증가에서 1조 2000억원 증가를 기록했고, 저축은행은 3000억원 감소에서 300억원 증가로 증가 전환했다. 보험 및 여전사는 각각 4000억원 감소, 2000억원 감소 등을 기록해 전달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당국 관계자는 "8월은 통상 계절적 요인 등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크게 확대되는 시기임에도 전년 동월 9조 7000억원 증가 대비 가계대출 증가세가 상당폭 축소된 점은 긍정적이나 안심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시장의 기대 심리 등 가계부채의 불안요인이 여전하다"며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속적으로 안정화될 때까지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준비되어 있는 조치를 즉각적이고 선제적으로 시행해 나갈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근 시행된 '가계부채 추가 관리방안(9월 7일)' 관련 현장점검 등을 통해 대출 현황, 일선 창구 동향 등을 집중 모니터링하고, 향후 금융당국·관계기관·금융권간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주기적으로 개최해 이번 조치가 시장에 조기 안착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