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초고령사회에 들어서면서 세대를 아우르는 맞춤형 자산관리의 중요성이 커진 가운데 생명보험사들이 보험금청구권 신탁 고객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기존 부동산, 퇴직연금, 펀드 등에 한정됐던 신탁 상품이 보험금까지 가능해지면서 900조원에 달하는 시장이 열리자 생명보험업계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생긴 것이다.
생보사 22곳의 일반사망 담보 누적 보유계약액은 지난해 6월 말 기준 883조원 규모로 이중 상당 부분이 신탁 시장으로 유입될 잠재력이 높다.
사후 자산관리 수단으로 신탁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보험사들은 종합재산신탁업 인가를 취득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신탁사 상품을 취급하려면 종합신탁업자 인가를 받아야 한다.
|
 |
|
▲ 사진=한화생명 |
1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한화생명은 전날 생전 지정한 방식에 따라 가족의 필요와 상황에 맞게 사망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는 '보험금청구권 신탁'을 출시했다.
이번 신탁은 한화생명 산하 상속연구소의 컨설팅을 통해 마련된 것으로, 고객은 자녀 학자금·상속세 재원·장기 생활비 등 세대별 라이프플랜에 맞춘 체계적 자금 설계를 실현할 수 있다.
상속연구소는 기존 FA(Financial Advisor)센터 소속 세무, 투자, 부동산 등 분야별 자산관리 전문가들이 모여 상속 특화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담 조직이다.
최인희 한화생명 상속연구소 소장은 "한화생명은 보험 이상의 종합자산관리를 제공하기 위해 상품과 컨설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며 "요즘 상속세를 고민하는 고객들이 늘고 있는데 전국 6개 FA센터에서 전문적인 신탁 상담을 통해 상속플랜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보험금청구권 신탁은 보험계약자가 보험금청구권을 신탁회사에 위탁하면 계약자 사망 시 신탁회사가 보험금을 대신 수령해 생전 지정한 수익자에게 사전에 정해진 일정에 따라 지급하는 제도로 지난해 11월 자본시장법 시행령 및 금융투자업규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가능해졌다.
보험금청구권 신탁 제도를 활용하면 미성년 자녀나 장애인이 고액의 사망보험금을 타인에게 편취당할 가능성, 재산관리 능력이 부족한 유족이 사망보험금을 탕진할 가능성 등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삼성생명, 교보생명, 미래에셋생명, 흥국생명, KB라이프생명 등은 이미 보험금청구권 신탁 시장에 진출해 '빅3'(삼성·한화·교보생명)를 포함한 5개사 경쟁 체제가 구축됐다.
삼성생명은 지난 6월 말 기준 780건, 257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교보생명은 554건, 800억원 규모를 기록하며 뒤를 쫓고 있다.
다만 △3000만원 이상 일반 사망보험금 △계약자, 피보험자, 위탁자가 동일한 경우 △직계존·비속 또는 배우자가 수익자 △보험계약대출이 없을 것 등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보험금청구권 신탁이 가능하다. 또 재해·질병사망 등 특약사항으로 획득한 보험금청구권은 신탁할 수 없어 가능해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금청구권 신탁에 대한 고객의 관심이 높아지고 사회적 안전망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으나 더욱 활성화할 수 있도록 신탁대상을 사망보험금 뿐만이 아니라 질병 상해보험금까지 확대하고 특약사항 제외, 수익자 제한 등과 같은 규제는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