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성준 기자] 이마트가 현재 61개점인 퀵커머스 서비스 점포를 19개 이상 더 늘려 연말까지 총 80여개점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마트는 운영상품수도 현재 6000개에서 1만개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
 |
|
▲ 이마트가 퀵커머스 서서비스 점포를 현재 연말까지 80여개점으로 확대하고 운영상품수도 1만개 이상으로 늘린다./사진=이마트 제공 |
이마트는 라스트마일 배송에 대한 고객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기존 배달의민족 플랫폼 외 지난 1일 SSG닷컴의 ‘바로퀵’ 플랫폼을 추가해 멀티 채널로 운영 중이다. 이마트는 2개 플랫폼을 활용해 1시간 내에 이마트 그로서리 상품 등을 즉시 배송함으로써 새로운 고객 경험을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퀵커머스 추이를 분석해보니 2030 고객 비중이 전체 고객의 절반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본격적인 퀵커머스 서비스 확대로 이마트 젊은 고객층 저변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고객 니즈와 트렌드를 충족시킬 상품 스펙트럼 확대에 심혈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마트는 지난 1일 SSG닷컴 ‘바로퀵’에 입점하며 고객 접점을 늘렸다. 이에 따라 SSG닷컴과 배달의민족 2개의 멀티 채널 플랫폼을 갖췄다. 퀵커머스 서비스를 운영하는 이마트 점포도 지속 확대한다. SSG닷컴은 19개점으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연내 60개점까지 늘린다. 배달의민족은 현재 61개 점포에서 연내 80여개점으로 서비스 운영점을 확대한다.
이마트는 멀티 플랫폼 활용과 서비스 매장 확대를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고객들이 다양한 채널로 이마트 상품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마트가 지난 10개월 간 서비스 이용 추세를 분석한 결과, 퀵커머스 이용 고객의 50% 이상이 2030 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 상품을 경험하는 젊은 고객층 저변이 확대돼 향후 이마트 ‘미래 고객’으로 점포를 방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상품 판매 측면에서는 신선/가공식품 등 그로서리 매출 비중이 90%에 달했고, 소단량 상품과 델리, 냉동육, 밀키트 등 간편식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저당상품, 디저트류 등 상품도 장바구니에 많이 담았다. 생활용품·사무용품 수요도 늘어 비식품 판매 비중이 초반 3%에서 최근 10%로 상승하며 그로서리 중심 퀵커머스 상품에서 카테고리 확장 가능성도 확인했다. 이마트는 이러한 트렌드를 바탕으로 연내 퀵커머스 운영 상품수를 1만개 이상으로 확대하며 퀵커머스 고객에게 최적의 장보기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이마트는 오는 21일까지 SSG닷컴과 배달의민족에서 그랜드 오픈 행사를 연다. 두 플랫폼에서 공통적으로 상품 10종 특가 행사, 평일 오후 2시~5시 타임딜, 5만원 이상 구매시 5000원 이마티콘 증정 등 혜택을 제공한다. 3만원 이상 구매시 적립금 증정, 무료배달 등 혜택도 마련했다.
김형수 이마트 Q-T/F장은 “오프라인 그로서리 강자 이마트와 플랫폼 전문기업 간 협업으로 차별화 된 퀵커머스 고객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고객에게 더 좋은 상품을 더 빠르게 배달하기 위해 인프라와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성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