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 AI 전문가 자문단과 협력... 전문성·완성도 확보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공정거래위원회는 15일부터 ‘AI 기반 업무혁신 전담팀’을 가동하며 민원과 사건처리 등 핵심 행정 전반에 인공지능을 본격 도입한다고 밝혔다. 전담팀은 데이터 수집·관리, 법·윤리 가이드라인 마련, 서비스 운영 등 AI 행정혁신을 총괄하게 된다.
|
 |
|
▲ 공정거래위원회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공정위는 앞서 데이터포털(FairData) 시스템을 통해 △자연어 질의응답 △금융약관 심사지원 △보고서 초안 작성 △민원 추천 등 4종의 AI 서비스를 구축·운영해왔다. 이어 지난해 하반기 ‘AI 활용 업무혁신 TF’를 통해 7대 중점 추진과제를 도출했으며 이번 전담팀은 이를 구체화하는 데 주력한다.
우선 ‘AI 번역기’에 공정위 전용 용어사전 기능을 추가하고, ‘유사 심결례·판례 검색’ 시스템을 개발해 2026년부터 서비스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업 중인 ‘AI 융합 약관심사 플랫폼’(35억 원)과 ‘하도급계약 공정화 지원 플랫폼’(18억 원)도 2026년 말 개통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다만 대규모 연산자원과 예산이 필요한 ‘민원접수 처리 효율화’와 ‘AI 기반 사건처리 고도화’ 과제는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이후 추진될 예정이다.
신설 전담팀은 기획조정관 산하 정보화담당관실에 설치되며, 기존 데이터팀 인력과 신규 임용예정자를 포함해 7명 규모로 출범한다. 공정위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AI 전문가 자문단과 협력해 전문성과 완성도를 확보할 방침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AI 전담팀 신설로 행정혁신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며 “민원·사건처리 과정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고, 불공정 신호를 조기에 포착해 예방적 법 집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