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용현 기자]HD현대삼호가 조선산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대적인 기술 혁신에 나섰다. 인공지능(AI) 기반의 휴머노이드 로봇과 자율이동 물류 시스템을 도입해 복잡한 공정을 자동화하고, 안전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미래형 조선소’ 구축에 속도를 올리는 움직임이다.
|
 |
|
▲ HD현대삼호는 15일 회사 VIP홍보관에서 김재을 대표, 현신균 LG CNS 대표, 김완수 HD현대로보틱스 대표를 비롯해 HD한국조선해양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안전한 공정 운영 및 효율화를 위한 휴머노이드 및 물류자동화 기술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사진=HD현대삼호 |
HD현대삼호는 자사 판넬공장에서 김재을 HD현대삼호 대표를 비롯해 현신균 LG CNS 대표, 김완수 HD현대로보틱스 대표,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들이 참석해 ‘휴머노이드 및 물류자동화 기술 개발’을 위한 협력 체계를 공식화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측정·성형·관제 등 다양한 생산 활동에 적용 가능한 AI 휴머노이드 개발 △자율이동로봇(AMR)을 활용한 물류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골자로 한다. 이를 통해 기존 협동로봇의 한계를 넘어, 용접·조립·의장·검수 등 고난도 공정의 자동화를 실현할 계획이다.
각 사의 역할도 명확히 구분된다. HD현대삼호는 제조 데이터 확보와 현장 인프라 조성을 담당하며, LG CNS는 초거대 언어모델 기반의 AI 융합 플랫폼을 구축해 조선소 운영의 디지털 전환을 이끈다.
HD현대로보틱스는 공정별 특화된 AI 모션 제어 기술을 제공하고 HD한국조선해양은 로봇·시뮬레이션·용접 등 핵심 제조 기술을 지원한다.
김재을 HD현대삼호 대표는 “AI와 로봇 기술의 현장 적용 확대를 통해 안전과 품질, 생산성을 혁신할 수 있는 미래 조선소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기술 개발은 단순한 설비 개선을 넘어, 조선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고위험 작업이 많은 조선소 현장에서 AI 기반 로봇의 도입은 작업자의 안전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인력 의존도가 높은 공정의 자동화는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LG CNS가 보유한 초거대 언어모델 기반의 피지컬 AI 기술은 조선소 운영의 예측·관리·최적화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미디어펜=이용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