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MSA, 민간 항만시설 첫 보안심사... 공공기관 주도 체계 본격 가동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이 민간이 운영하는 항만시설을 대상으로 처음 보안심사를 실시했다. 그동안 민간이 맡아온 업무를 공단이 수행하게 되면서, 항만보안의 공공성과 전문성이 강화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이 항만시설 보안심사를 처음 시행하는 충남 보령 신보령화력부두 전경./사진=KOMSA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은 16일 충남 보령시 신보령화력부두에서 민간운영 항만시설 보안심사를 처음으로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 점검은 지난 7월 공단이 ‘국제항해 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안심사 대행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첫 사례다.

신보령화력부두는 한국중부발전㈜이 운영하는 국가 에너지 공급 거점으로, 지난해 기준 선박 43척이 105회 이용했으며 약 400만 톤의 석탄을 처리했다. 

공단은 이번 4차 중간 보안심사에서 △보안계획 이행 현황 △출입통제 체계 △보안 시설·운영 기준 준수 여부 등 핵심 사항을 점검했다.

공단은 올해 하반기 대산·군산·평택·동해 등 12곳을 시작으로 내년 전국 120여 개 민간 항만시설을 심사할 계획이다. 오는 2027년 5월부터는 전국 약 190곳으로 대상을 전면 확대한다. 이를 위해 보안심사관 21명을 운영 중이며, 12명을 추가로 양성하고 있다.

김준석 이사장은 “공공기관 주도의 보안심사 개시로 민간운영 항만시설의 보안체계가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관계기관과 협력해 보안 위협에 선제 대응하고 안전한 항만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