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증가폭 1위…강동·마포·동작 등 21개구 7월 대비 증가
토허제 지정 앞두고 갭투자 몰려 가격↑…새 대책 '세제' 가능성
[미디어펜=서동영 기자]6·27 대출 규제 이후 주춤하던 서울 아파트 거래가 최근 다시 늘고 가격도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성동·강동·마포·동작 등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량 증가가 두드러진다. 추후 있을지도 모르는 토지거래허가제 지정 전에 갭투자로 물건을 사려는 움직임이라는 분석이다. 이로 인해 정부가 부동산 세제 같은 새 규제를 꺼내 놓을 지 주목된다.  

   
▲ 6·27 대출 규제 이후 주춤하던 서울 아파트 거래가 최근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서울 아파트 8월 매매 거래량(이하 계약해제 건 제외)은 총 4017건으로 7월 3945건을 넘었다. 8월 거래 신고는 9월말까지 할 수 있는 만큼 거래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6월 1만 건을 넘어섰다. 하지만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고 조건부 전세자금대출을 중단한 6·27 대출 규제 이후 7월 거래량은 4000건 미만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지난달부터 다시 거래량이 늘기 시작했다. 특히 한강벨트 지역과 대출 규제의 영향이 적은 강북의 거래량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성동구는 현재까지 8월 매매 신고 건수가 총 197건으로 7월 102건의 2배 수준(93.1%)을 기록하며 25개 구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또한 성북구가 329건으로 전월 대비 67.0% 증가했고 강동구(65.3%), 중구(48.6%), 마포구(44.2%), 동작구(36.6%), 광진구(24.6%)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비해 6억 대출 규제의 타격이 큰 강남 3구와 양천구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4개 구는 8월에도 7월 거래량을 밑돌고 있다. 강남구는 20일 현재까지 신고된 8월 거래량이 96건으로 7월 312건 대비 69.2% 감소했다. 송파구는 134건으로 7월 366건 대비 63.3% 급감했다. 또 서초구는 87건으로 7월 195건 대비 55.4%, 양천구는 122건으로 7월 174건 대비 29.9% 각각 감소했다.

강북 한강벨트 중심의 거래량 증가는 이달에도 이어지는 분위기다. 특히 성동구의 9월 거래 건수는 거래 신고 기한이 다음 달 말까지인데도 벌써 104건이 계약됐다. 7월 102건 거래량을 넘었고 8월 신고 건의 52.8%에 달하는 수준이다. 동작구도 현재까지 9월(96건) 거래 신고 건이 8월 183건의 절반을 넘겼다. 

이같은 한강벨트의 거래량 증가는 아파트값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성동구 아파트값은 지난주 0.41% 올라 지난주(0.27%)보다 상승 폭이 크게 커졌다. 지난 8월 셋째 주 0.15%에서 마지막 주 0.19%로 오름폭이 커진 뒤 4주 연속 상승 폭이 커지는 중이다. 마포구는 지난주 0.28%, 광진구는 0.26% 오르며 각각 전주(0.17%, 0.20%)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이들 지역의 거래량 증가와 가격 상승세에 대해 부동산업계에서는 토허제 확대 지정 확대 가능성에 매수세가 몰리며 거래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마포구 아현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9·7대책으로 정부가 토허구역 지정 권한을 갖는 법 개정이 추진되면서 이곳의 허가구역 지정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라며 "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전세를 낀 매수가 불가능하고 2년 거주 의무가 따라붙으니 그 전에 매수하겠다며 찾아오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때문에 한강벨트 등을 중심으로 당분간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이어진다면 정부가 또 다른 규제책을 꺼내 들 수 있다는 전망이다. 다음 카드로는 세제개편이 거론된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8일 기자간담회에서 "가능하면 부동산시장에 세제를 쓰는 것은 신중히 추진하겠다"면서도 "부동산 상황과 응능부담(납세자의 부담능력에 맞는 과세) 원칙 등을 살피면서 필요하면 (부동산세제 강화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