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환 시대, 무엇이 미래를 만드는가’ 주제로 미래 성장전략 논의
장인화 회장 “과거 성공 방식에 갇히지 않고 위기감 가져야”
[미디어펜=박준모 기자]포스코그룹이 기술 기반의 위기 돌파와 미래 성장 전략 수립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2025 포스코포럼’에서 그룹 경영진들과 함께 세계적 석학과 머리를 맞대고 위기를 극복할 방안과 지속 성장 해법을 모색한다.

   
▲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22일 포스코 송도 글로벌R&D센터에서 열린 2025 포스코포럼에서 기조강연자인 앤드류 맥아피 MIT 경영대학원 교수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포스코그룹 제공


22일 포스코그룹에 따르면 장인화 회장을 비롯한 그룹사 전 임원은 이날부터 이틀간 포스코 송도 글로벌R&D센터에서 열리는 포스코포럼에 참가한다. 이 포럼은 그룹 사업의 대내·외 환경을 진단하고 그룹의 성장과 혁신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올해로 7회째인 이번 포럼은 ‘대전환 시대, 무엇이 미래를 만드는가’를 주제로 열린다. 

장인화 회장은 “기존의 성공 방식에 갇히지 말고 기술이 초일류 기업 포스코그룹의 미래를 여는 열쇠가 될 수 있도록 위기감을 가져야 한다”며 “한발 앞서 미래를 읽고 산업 변화를 주도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안전과 관련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안전진단 내용들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그룹 구성원들이 안전한 일터에서 창의적으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위험을 근본적으로 제거해 나갈 것”이라며 “국내 제조·건설 현장에 K-Safety 모범사례를 만들고 확산하는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조강연에서는 앤드류 맥아피 MIT 경영대학원 교수가 기술 혁명에 따른 사회, 경제, 산업의 변천사를 짚어보고 AI(인공지능)·로봇·양자역학 등 최신 기술 혁신의 과도기 속 기업들의 성장 전략을 제안한다.

이어 열리는 3개 메가트랜드별 세션에서는 정치·경제·사회 전반과 관련된 △신(新) 모빌리티 △AI 전환 △에너지 3개 주제별로 구성했다. 보다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를 대비하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도록 전문가 강연과 토론, 기술 시연, 대담 등도 이어진다. 

‘신 모빌리티’ 세션에서는 소프트웨어·서비스·항공으로 진화하는 모빌리티 혁신 사례와 시사점을 소개하며, ‘AI 전환’ 세션에서는 로봇 기술 시연을 포함해 AI와 로봇의 발전에 따라 변화하는 제조업 트렌드를 분석하는 시간을 갖는다. 

‘에너지’ 세션에서는 전통적 화석연료에서 전동화 중심의 신흥 체제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주요 기업, 국가의 대응 사례 및 향후 전략을 다룬다.

장인화 회장은 취임 이후 ‘미래를 여는 소재, 초일류를 향한 혁신’ 경영비전을 선포하고 철강 사업 재건, 이차전지소재 경쟁력 쟁취 등 7대 미래혁신 과제 실행을 위한 전략 방향 중 하나로 ‘미래기술 기반의 초격차 비즈니스 선도’를 강조하며 기술의 중요성에 집중해왔다.

포스코그룹은 그룹 성장 전반을 다루는 포스코포럼과 함께 회장이 직접 주재하는 그룹기술전략회의, 포스코그룹 테크포럼 등을 통해 지속가능성장을 이끄는 기술 개발을 장려하고 기술과 사업전략간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세계 최고의 경쟁력 확보와 미래 신사업 창출로 이어지는 기술 혁신 체계를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최근 안전혁신·미래전략 자문위원회’를 출범시키며 안전한 일터를 구현하고 그룹 미래 신사업 확장 가능성까지 폭넓게 검토할 방침이다. 

자문위는 회장 직속으로 독립성을 갖고 있으며 △안전 △미래 신사업 △커뮤니케이션 3개 분과로 구성된다. 각 분과별로 사외 전문위원과 그룹 최고 경영층이 참여해 그룹 경영상의 방향 설정에 필요한 조언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미래 신사업 분과에서는 포스코그룹의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에너지, 환경, 희토류 등 미래전략 산업을 발굴·육성할 나갈 계획이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