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총회 계기 뉴욕서 3자 회의 후 공동성명 채택
조현, '조지아 사태' 재언급 "새로운 비자 도입" 강조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유엔총회 참석 계기 뉴욕을 방문한 한미일 외교장관이 22일(현지시간) 회의를 열고 한반도 비핵화를 원칙으로 하는 대북정책을 긴밀한 공조로 유지해나가기로 합의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 차 뉴욕을 방문 중인 조현 장관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대신과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갖고, 한반도 및 지역 현안과 한미일 3국간 경제안보 협력 증진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고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외교부가 23일 밝혔다.

조 장관은 “올해 한미일 장관급 회의만 4번째 개최되는 등 한미일 협력 의지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할 때 취임 후 처음으로 한미일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게 되어 뜻 깊게 생각한다”고 밝히고, “역내 문제 및 경제안보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조를 증진하자”고 강조했다.

루비오 장관과 이와야 대신도 조 장관의 참석을 환영하고, 역내 평화, 안정, 번영을 위한 한미일 협력을 더욱 강화해나가는데 뜻을 모았다.  

3국 장관들은 그간 한미일 안보 협력, 사이버 대응 공조 등 그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한반도 비핵화 원칙과 대북 억제 태세를 견지하는 가운데 대북정책 관련 긴밀한 공조를 유지해 나가기로 했다. 

   
▲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조현 외교부 장관(오른쪽)이 22일(현지시간)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가운데),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대신과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열고 있다. 2025.9.22./사진=외교부

조 장관은 북한과 대화 재개를 비롯해 한반도 평화와 북핵 문제 해결의 실질적인 진전을 위해 적극 협력해 나가자고 했다.

3국 장관들은 경제안보 협력 및 첨단기술 분야에서의 공조 심화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와 관련해 조 장관은 최근 조지아에서 공장을 건설 중이던 한국인 구금 사태를 언급했다. 그는 미국의 첨단기술, 제조업 르네상스를 위한 최적의 파트너로서 한국의 협력 의지를 재확인하면서도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인적교류 보장과 조지아 사태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적 개선, 새로운 비자 제도 도입 등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이와 관련한 미측의 각별한 조치를 당부했으며, 루비오 장관은 이는 3국이 아닌 양자 차원의 문제이지만, 우호적 동맹 관계 등을 고려해 조속한 문제 해결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이와 함께 3국 장관들은 퀀텀, 원자력, AI, 공급망 등 분야별 실질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기로 했으며, 행동 지향적이고 가시적 성과를 계속 거양해 나갈 수 있도록 한미일 사무국을 적극 활용하고, 장관 차원에서 이를 지속 점검해나가기로 했다.

이번 공동성명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 대화는 없다'는 입장을 내놓은 가운데 채택됐다. 김 위원장은 최근 열린 최고인민회의에서 공개 연설을 통해 "우리에게서 ‘비핵화’라는 것은 절대로 절대로 있을 수 없다"며 "미국이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다면 우리와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2일 보도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