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유엔본부에서 한국 대통령으로서 처음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개토의를 주재했다. 한국은 올해 안보리 의장국이며, 이 대통령이 의장 역할을 맡은 것이다.
안보리 회의장 안 원형 테이블의 중앙에 마련된 의장석에 앉은 이 대통령은 안보리 이사국 15개국을 포함해 다수의 유엔 회원국의 정상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AI(인공지능)와 국제 평화·안보’를 이날의 토의 주제로 채택한 뒤 의사봉을 두드려 토의를 공식 시작했다.
이후 요수아 벤지오 몰트리올대학 교수 등 두 명의 전문가와 하산 셰이크 모하무드 소말리아 대통령 등 네 명의 정상의 발언을 청취한 이 대통령은 의장 자격의 발언을 시작했다.
이 대통령은 ‘현재의 AI는 새끼 호랑이와 같다’고 한 제프리 힌튼 교수의 말을 인용하며 “AI는 우리를 잡아먹을 사나운 맹수가 될 수도 있고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나오는 사랑스러운 ‘더피’가 될 수도 있다”면서 “우리가 AI를 어떻게 다룰 지에 따라 전혀 다른 미래가 펼쳐질 것”이라고 했다.
|
 |
|
▲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전보장이사회 공개 토의에서 참석자 발언을 듣고 있다. 한국 정상이 안보리 공개토의를 주재한 것은 처음으로, 이는 한국이 올해 안보리 의장국을 맡은 데 따른 것이다. 2025.9.25./사진=연합뉴스
|
이어 “변화에 대비하지 못하고 끌려간다면 극심한 기술 격차가 ‘철의 장막’을 능가하는 ‘실리콘 장막’으로 작동해 세계적인 불평등과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면서 “국익을 위해 경쟁하되 모두의 이익을 위해 협력하는 것이 현명한 대처다”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명과 암이 공존하는 AI시대의 변화를 기회로 만들 방법은 국제사회가 단합해 ‘책임 있는 이용’의 원칙을 바로 세우는 것뿐”이라며 “많은 전문가의 경고대로 인공지능이 인류를 멸종시킨다면 이는 공통 규범을 만들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
 |
|
▲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AI와 국제평화·안보'에 대한 안전보장이사회 공개 토의가 진행되고 있다. 2025.9.25./사진=연합뉴스
|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유엔의 역할에 대해서는 “특히 안보리의 책임이 막중해졌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AI를 잘만 활용하면 대량살상무기(WMD)의 확산을 감시하는 등 분쟁을 예방하고 평화를 유지하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지만, 통제력을 상실한다면 허위 정보가 넘쳐나고 테러,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는 디스토피아의 미래를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은 그동안의 구상을 가다듬은 새로운 개념을 밝혔다. 바로 AI 기본사회(AI UBS)였다”며 “AI 기본사회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실업, 자실, 의료 불균형, 허위조작정보 등에서 벗어나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삶을 보장해주는 사회를 이른다”고 설명했다.
또 “이 대통령은 기술 발전의 혜택을 함께 누리는 AI 기본사회, 모두의 AI가 새로운 시대에 ‘뉴노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AI가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도구가 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앞장서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공개토의를 1시간여 주재한 후 의사봉을 조현 외교부 장관에게 넘기고 회의장을 이석했다. 다자회의 특성상 각종 회의를 주재하는 정상들은 각국 일정에 맞춰 차석급에게 회의 진행을 넘기게 된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