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은행권의 7월 말 원화대출 연체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연체 발생액이 전달 수준을 이어간 가운데, 연체채권 상·매각 규모가 줄어든 까닭이라는 평가다.
|
 |
|
▲ 은행권의 7월 말 원화대출 연체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연체 발생액이 전달 수준을 이어간 가운데, 연체채권 상·매각 규모가 줄어든 까닭이라는 평가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7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7%로 전월 말 0.52% 대비 약 0.05%포인트(p) 상승했다. 1년 전 같은 기간 0.47%에 견주면 약 0.10%p 상승한 수치다. 7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 8000억원으로 전달과 대동소이한 반면, 연체채권 정리액은 1조 6000억원에 그쳐 전달 5조 7000억원 대비 약 4조 1000억원 급감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가계대출 연체율 모두 일괄 상승했다.
우선 기업대출 연체율은 0.67%를 기록해 전월 말 0.60% 대비 약 0.07%p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이 0.14%로 전월 말 수준을 이어간 반면,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2%로 전달 0.74% 대비 약 0.08%p 상승했다. 중소기업대출을 구체적으로 보면 중소법인 연체율이 약 0.11%p 악화한 0.90%까지 치솟았고,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도 약 0.06%p 상승한 0.72%를 기록했다.
|
 |
|
▲ 원화대출 연체율 추이./자료=금융감독원 제공 |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달 0.41% 대비 약 0.02%p 상승한 0.43%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전달 0.30% 대비 소폭 개선된 0.29%에 그친 반면, 주담대를 제외한 신용대출 등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약 0.08%p 악화한 0.86%까지 치솟았다.
7월 중 신규연체율(7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6월 말 대출잔액)은 0.11%로 전월 수준을 이어갔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대내외 불확실성 및 내수경기 회복 지연 등에 따른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최근 연체율 상승폭이 크고 취약부문에 대한 대출비중이 높은 은행을 중심으로 부실채권 상매각, 충당금 확충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