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제재 효과를 믿나, 트럼프의 접근법이 현실적”
“구체적 창의적 실행 방안이 우리 정부에 주어진 숙제”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25일 이재명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제기한 남북 간 교류-관계 정상화-비핵화의 ‘END 이니셔티브’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방안을 만드는 일이 남아 있는 것”이라며 “현재로선 돌파구가 북미 정상회담이다. 북미 정상회담이 이뤄지도록 강력 지지한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END 이니셔티브의 의미에 대해 “37년 전 노태우 정부가 시작했던 4강 교차 승인 구상, 이른바 북미관계 정상화 및 북일관계 정상화를 (이 대통령이) 이번 유엔 총회연설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정 장관은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두 국가' 논란을 언급하며 “소모적이고 갈등적인 논쟁보다는 이 대통령이 밝힌 대로 어떻게 대화와 교류를 복원하느냐 그리고 오랜 꿈인 4강의 교차 승인을 완성해서 북미 수교와 북일 수교를 만들어내느냐, 이것이 실천적 과제”라고 말했다. 
 
   
▲ 이재명 대통령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저서 '정의란 무엇인가'로 유명한 마이클 샌델 하버드 대학교 교수와 인사하고 있다. 가운데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 2025.9.18./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어 “교류와 관계 정상화, 비핵화 3대 과제를 해결하면 이재명 정부는 역사에 빛나는 정부가 될 것”이라며 “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손을 잡으면 역사를 바꿀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북미 정상회담이 돌파구’라고 말한 것과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라서 가능하다. 한반도 문제에 관한 한 트럼프 대통령이 희망”이라면서 “북미 회담이 이뤄져야 남북관계에 물꼬가 터진다. 회담의 분위기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창의적인 실행 방안이 우리 정부에 주어진 숙제라고 본다”고 밝혔다.

또 “그동안 제재를 통해 북한의 핵포기를 추구했지만 20년동안 실패했다. 이제 제재로 핵포기가 이뤄질 것이라 믿는 전문가가 없어졌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제재가 (유일한) 수단이었는데 이제 남은 건 뭔가, 기도일까, 변심일까. 수단이 없다”면서 “(북한 문제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접근 (방식)이 현실적이라 본다”고 말하기도 했다.

정 장관은 북미 대화가 시작될 경우 한국 정부의 관여 가능성 및 관여 시기와 관련한 질문엔 “북미 정상회담에선 당연히 남북대화와 남북 간 교류·협력이 그 다음 단계로 나올 수밖에 없다”며 “(북미 대화) 장소도 현재로 보면 한반도 내에서 이뤄질 수밖에 없다. 지금 또 하노이를 가겠나, 상가포르를 가겠나"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