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전국금융산업노조(금융노조)가 '주 4.5일 근무제 도입'과 '임금 5% 인상' 등을 요구하며 26일 총파업에 돌입했다. 총파업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한 데다 은행 내부에서조차 부정적 의견이 나오면서 참여율이 저조해 은행들은 대부분 영업점을 정상대로 운영하고 있다.
|
 |
|
▲ 전국금융산업노조(금융노조)가 '주 4.5일 근무제 도입'과 '임금 5% 인상' 등을 요구하며 26일 총파업에 돌입한다. /사진=김상문 기자 |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금융노조 총파업으로 인한 주요 시중은행과 국책은행의 영업점 차질은 크지 않다.이번 총파업에 참여하는 은행권 전체 참여율은 1% 정도로, 은행 노조 간부 일부 직원만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파업 찬반을 묻는 투표 당시 주요 은행의 투표율 자체가 과반을 밑돌았으며, 신한은행의 경우 파업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금융노조가 3년 전 총파업에 나섰을 당시 전체 은행권 참여율은 9.4%,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참여율은 0.8%에 그쳤다. 총파업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면서 대부분 은행에선 정상 운영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들은 총파업에 따른 고객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으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비상 대응책을 마련해 둔 상태다. 영업점 상황을 실시간 점검하는 한편 상황에 따라 단계별 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참여율이 낮을 것으로 보여 영업점 차질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3년 전 파업 당시에도 영업점 대부분은 정상 운영했으며, 이번에도 고객불편을 최소화하는데 만전을 다 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노조는 지난 23일 사용자협회와 교섭을 이어갔지만, 최종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하고 파업을 선언했다. 앞서 금융노조는 지난 1일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투표율 97.1%, 찬성률 94.98%로 총파업을 확정했다. 은행권의 총파업은 2022년 9월 16일 이후 약 3년 만이다. 금융노조는 △주 4.5일제 전면 도입 △연봉 5% 인상 △정년 연장 △신입 채용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지난 8일 열린 '9.26 총파업 기자간담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노사 자율에 의한 노동시간 단축'은 이제 현실이 돼야 한다"며 "오는 26일 10만 조합원의 결의와 국민적 지지에 힘입어 반드시 현실로 만들겠다"고 했다.
노조의 요구사안 가운데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4.5일제 도입이다. 노조는 "저출생·돌봄공백·지역소멸 등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동시간 단축과 금융산업 구조개선이 필수"라고 주장하고 있다. 근무시간 단축을 위해 노조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영업시간을 30분씩 늦추고, 금요일에는 오전까지 근무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은행 내부에서조차 고령층을 중심으로 한 고객 불편과 인건비 증가에 따른 신규 채용 및 고용 안정성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며 '시기상조'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임금 삭감 없는 단축 근무는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연봉 1억 이상 고임금이라는 프레임에 갇혀 있어 해소가 어렵다"며 "강한 노조로 평가받는 금융노조에서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여성 노동자, 출생 관련 문제를 다른 사업장에서 먼저 해결이 가능하겠냐"고 말한다. 일각에선 이재명 정부가 주 4.5일제 도입을 국정과제로 추진하면서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해보겠다는 전략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주 4.5일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여당조차 금융노조의 총파업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입장문을 통해 "금융노조가 총파업을 예고한 것은 안타깝다"며 "금융산업 노사가 파업이라는 극단적 대결보다는 상호 양보와 타협을 통해 자율적으로 주 4.5일제를 도입하기 위한 대화를 진행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