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태민 기자]전국에서 아파트 공급난 우려가 심화되며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
|
▲ 두산위브더제니스 청주 센트럴파크 투시도./사진=두산건설 |
2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4분기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임대 제외)은 5만9005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분양 물량 7만1447가구보다 약 17.41% 줄어든 것으로, 1만2442가구가 감소한 수치다.
업계에서는 분양 물량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대출 규제와 부동산 시장 침체를 꼽았다. 여기에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공사비 인상 부담까지 겹치면서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조율하거나 연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입주 물량(임대 제외) 역시 감소세다. 지난해 전국 입주 물량은 32만5602가구로 집계됐으나, 올해는 약 27%(8만5764가구) 줄어든 23만7514가구가 예정돼 있다. 더욱이 내년에는 17만9704가구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이 같은 분양 및 입주 물량 감소는 향후 주택 가격 상승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입주 물량 감소로 전세 공급이 부족해지면 전세 가격이 상승하고, 이는 곧 매매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세 시장에서는 가격이 오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보면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가는 지난 2023년 6월 2억5667만8000원으로 이후 2025년 7월까지 25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한 업계 전문가는 "현재 주택 공급 절벽이 현실화되면서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더욱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공급 감소와 함께 전세시장의 불안정성까지 더해지면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 새 아파트 선점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가운데, 4분기 주목할 신규 분양 단지들이 등장했다. 우선 두산건설은 내달 충청북도 청주시에 ‘두산위브더제니스 청주 센트럴파크’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최고 31층, 18개 동, 전용면적 59~114㎡ 총 1618가구로 조성된다. 이 중 전용면적 59~114㎡ 705가구를 일반분양한다.
현대건설은 26일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힐스테이트 사직아시아드’의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 분양에 나선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35층, 10개 동, 전용면적 50~121㎡, 총 1068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전용면적 50~84㎡, 302가구를 일반분양한다.
포스코이앤씨는 내달 경기도 오산에 ‘더샵 오산역아크시티’를 공급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44층, 7개 동, 전용면적 84~104㎡ 아파트 897가구와 전용면적 84㎡ 오피스텔 90실, 연면적 약 2만5000㎡ 규모의 상업시설로 구성된다.
이 밖에 중흥토건은 경기도 구리시에 ‘중흥S-클래스 힐더포레’의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분양 중이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15층, 22개 동, 1·2단지 총 1096가구의 대단지 규모다. 이 중 전용면적 59·84㎡ 637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미디어펜=조태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