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코스피 지수가 2.5% 가까이 떨어지며 크게 흔들린 채로 이번 주 거래를 마쳤다. 한미 관세 협상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는 등 악재가 겹친 영향을 한 번에 반영한 모습이다.
|
 |
|
▲ 26일 코스피 지수가 2.5% 가까이 떨어지며 크게 흔들린 채로 이번 주 거래를 마쳤다./사진=김상문 기자 |
26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85.06포인트(-2.45%) 급락한 3386.05에 거래를 마쳤다. 이로써 지수는 3거래일 연속 하락했고, 지난 12일(3395.54) 이후 10거래일 만에 3400선 밑으로 떨어졌다.
또한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정부의 세제개편안 실망감에 증시가 급락했던 지난달 1일(126.03포인트) 이후 가장 크게 떨어졌다.
이날 지수는 전장 대비 30.72포인트(-0.89%) 내린 3440.39로 개장해 낙폭을 키워갔다. 장중 한때 3365.73까지 지수가 떨어지기도 했다. 이날 하루 급락으로 코스피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약 70조 1136억원이 사라졌다.
또한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11.8원 뛴 1412.4원을 가리키며 지수에 부담을 더했다.
매매주체별로 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608억원, 4888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지수를 압박했다. 반면 개인은 1조975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4405억원어치를 팔며 전형적인 하락장의 매매패턴을 완성시켰다.
국내 증시 급락은 여러 악재를 한 번에 반영한 결과로 관측된다. 미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확정치가 큰 폭으로 개선되자 금리인하 기대감이 빠르게 약화된 점, 한미 관세 협상 관련 불확실성이 커진 점 등이 겹쳤다.
예를 들어 지난 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투자할 3500억달러가 "선불(up front)"이라고 발언하는 등 우려를 키우는 모습이었다. 투자금의 성격이 대출이나 보증이 아닌 ‘현금’이 돼야 한다는 뉘앙스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외환보유고를 고려할 때 불확실성 요소가 커진 셈이 됐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지 않은 기업의 의약품에 대해 내달부터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점도 위험회피 심리를 자극했고, 이와 같은 상황이 결국 원‧달러 환율을 1410원대로 급등시키면서 지수 낙폭을 키웠다.
시가총액 상위주 중에선 삼성전자(-3.25%)가 급락해 8만3000원대로 내려왔고 SK하이닉스(-5.61%)도 단숨에 33만원대로 밀려나는 등 그간 상승세를 주도해온 두 종목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2.15%), LG에너지솔루션(-3.46%), 한화에어로스페이스(-0.38%), 현대차(-1.15%), 카카오(-6.17%)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다수가 하락한 모습이다. NAVER(0.98%), 셀트리온(0.06%) 등은 올랐지만 상승폭이 크진 않았다.
업종별로도 정보기술(-8.79%), 전기전자(-3.82%), 건설(-2.79%), 의료정밀(-2.70%), 운송장비(-1.95%) 등 대다수 업종이 떨어졌다.
한편 코스닥 지수도 전장 대비 17.29포인트(-2.03%) 급락한 835.19에 거래를 마치며 4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외국인이 836억원 순매도했으며 개인과 기관은 각각 808억원, 87억원어치를 매수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2조4870억원, 7조937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이날 급락에 대해 추세적 하락으로까지 비화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나와 눈길을 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의 코스피 조정은 한미 간 관세 협상이 난항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선반영된 결과로 판단한다”면서 “만일 협상이 결렬되고 미국이 고관세 정책을 강행할 경우 주가 약세가 장기화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이어서 나 연구원은 “10월 APEC 회의 개최,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 등을 고려할 때 극단적 시나리오로 전개될 가능성은 낮다”면서 “추석 연휴 이후 협상 진전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 완화가 기대되며, 주가 조정시 AI 소프트웨어, 로봇, 반도체 등 구조적 수혜 업종 중심의 매수 대응 전략이 유효하다는 판단”이라고 분석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