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안정 상황(2025년 9월) 보고서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지방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은 각각 일부 지방 또는 특정 부문을 주요 영업대상으로 하는 만큼, 최근 지역경기 부진과 가계대출 정책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들 은행 모두 취약부문의 부실 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건전성 제고를 위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한국은행 전경./사진=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2025년 9월) 보고서에 따르면 지방은행은 지역경제 부진 등의 영향으로 총자산 증가율이 지난해 이후 시중은행을 하회하는 등 낮은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최근의 낮은 성장세는 대출자산 중 가장 큰 비중(6월말 기준 57.4%)을 차지하는 중소기업 대출의 증가율이 큰 폭으로 낮아진데 따른 영향이다. 

다만 가계대출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중 시중은행에 비해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며 자산 성장세를 제약했으나, 9월 이후에는 대출 증가율이 신용대출 중심으로 반등하면서 시중은행 수준으로 높아졌다.

지방은행의 자산전건성은 올해 들어 중소기업 대출을 중심으로 악화되고 있다. 연체율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빠르게 승상해 올해 6월말 1.04%로 높아졌다. 분기말 기준으로 연체율이 1%를 넘어선 것은 2012년 9월 이후 처음이다.

가계대출 연체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기업대출 연체율도 주요 업종 모두 오름세를 보였다. 지방 부동산시장 부진이 지속되고 지역 주요 건설사의 경영난 등으로 부동산업(지난해 12월말 0.53% → 올해 6월말 1.42%) 및 건설업(0.79% → 1.41%)의 연체율이 크게 상승했다.

보고서는 "향후 지역 경기 여건에 따라 지방은행의 부실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며 "지방은행은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큰 만큼 해당 지역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에도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 관세 부과의 영향으로 통상 환경이 어려운 대외 여건에서 석유화학과 철강, 자동차 등 특정 업종이 밀집된 지역의 경우 관련 제조업 대출의 건전성 관리 부담이 증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터넷은행은 2021년 10월 토스뱅크 출범 등으로 2023년까지 상승하던 자산 성장세가 주춤하는 모습이다. 이는 대출 포트폴리오가 가계대출로 편중된 구조에서 가계부채 규제 강화의 영향이 더해지면서 가계대출 증가율이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앞으로도 가계부채 관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인터넷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는 당분간 제약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인터넷은행이 가계대출 비중을 조정하면서 개인사업자 대출은 올해 들어 증가율이 반등하는 보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인터넷은행의 연체율은 6월말 0.67%로 2023년 이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규제를 지키기 위해 취급한 대출에서 금리상승기를 거치며 부실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지방은행과 인터넷은행 모두 취약부문의 부실 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건전성 제고를 위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한은은 진단했다.

보고서는 "지방은행은 지역밀착형 금융기관으로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을 통해 손실흡수력을 높여야 할 것"이라며 "인터넷은행은 자체 신용평가 및 리스크 관리 고도화 등을 병행하면서 가계대출에 편중된 대출 포트폴리오를 중소법인 대출 등으로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