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우리금융그룹이 향후 5년간 총 80조원을 투입해 생산적 금융 전환과 포용금융 확대에 나선다. 정부가 추진하는 국민성장펀드에 민간에서는 처음으로 10조원 참여 계획도 발표하는 등 경제회복을 위한 민관협력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
 |
|
▲ 우리금융그룹 전경./사진=우리금융 제공. |
우리금융은 29일 서울 본사에서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 최고경영자(CEO) 합동 브리핑'을 열었다. 이날 브리핑에는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정진완 우리은행장을 비롯해 우리투자증권 남기천, 보험(ABL) 곽희필, 저축은행 이석태, 자산운용 최승재, 벤처파트너스 김창규, PE 강신국 등 자회사 CEO가 참석했다.
우리금융은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에 따라 2030년까지 5년간 총 80조원을 △생산적 금융(73조원), △포용금융(7조원)에 실행하기로 했다.
생산적 금융 73조원은 △국민성장펀드 참여 10조원을 비롯해 △그룹자체투자 7조원 △융자 56조원으로 구성됐다. 이 중 국민성장펀드 10조원은 지난달 10일 이재명 대통령이 국민보고대회에서 국민성장펀드 150조원을 제시한 이후 민간 첫 추진 사례로 민간·국민기금 75조원의 약13%에 달하는 규모다.
그룹 자체투자 7조원은 △그룹 공동투자펀드 1조원 △증권 중심 모험자본 투자 1조원 △자산운용 계열사의 생산적 금융 펀드 5조원 등 3가지 방안으로 추진된다. 그룹공동투자펀드는 은행, 증권, 보험, 카드, 캐피탈 등 자회사가 조성한 금액을 우리자산운용 등 자산운용 자회사가 운용주체로 나선다. △직간접 투융자 △민간 모(母)펀드 조성 △자(子)펀드 투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AI, 바이오, 방산과 같은 10대 첨단전략산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우리투자증권은 자본여력을 확대해 첨단전략산업 기업에게 초기 스타트업부터 스케일업, Pre-IPO, IPO 등 성장단계별 맞춤형으로 5년간 총 1조원의 모험자본을 공급하기로 했다.
융자 56조원은 △K-Tech 프로그램 19조원 △지역소재 첨단전략산업 육성 16조원 △혁신 벤처기업 지원 11조원 △국가주력산업 수출기업 지원 7조원 △우량 중소기업 첨단인력 양성 및 소상공인 금융 지원 3조원 등으로 구성됐다.
포용금융 7조원은 △서민금융대출 등 상생금융 확대(7조원) △상생·보증대출 재원 출연 등 소상공인 금융지원(480억원) △배드뱅크 지원 등 정부 연계사업(1천억원)으로 구성됐다.
현재 6개인 '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를 11개까지 늘려 현장밀착형 대면 지원을 지속 강화하고, 서민금융상품에 대한 금리우대도 지속적으로 늘린다. 이를 통해 매년 11만명씩 5년간 총 55만명의 소상공인, 취약계층이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외부신용등급(CB) 7등급 이하 저신용등급 신규고객에게 0.3%포인트(p) 금리인하를 새로 적용한다. 기존 성실상환 고객 중 은행자체신용등급(CSS) 4~7등급은 0.4%p, 8등급 이하는 1.5%p 금리인하를 적용한다.
우리금융은 생산적·포용금융 확대에 따라 우려되는 자본 안정성, 건전성 악화를 차단하기 위해 선제적인 대응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주택담보, 임대사업자 대출을 첨단전략산업 대출로 전환하는 등 자산을 리밸런싱할 계획이다. 또 당국이 추진하는 위험가중치(RW) 조정분을 생산적 금융에 우선 반영해 자본 안정성 영향을 최소화한다. 연말 그룹 보통주자본비율 12.5% 달성과 지난해 공시한 배당 확대 등 밸류업 계획도 차질 없이 이행할 방침이다.
생산적 금융 전환, 투자 중심 금융지원을 위한 효율적 의사결정과 속도 향상, 리스크관리 고도화를 위해 우리금융은 AI 기반 경영시스템 전환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우리금융은 AX 우선 도입 예정인 190개 업무 중 생산적 금융과 관련된 50여개를 우선 추진해 생산적 금융을 원활하게 뒷받침한다.
임 회장은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는 종합금융그룹 완성을 통해 진용을 갖춘 자회사들의 역량을 총동원해 창업-성장-도약 등 기업 성장단계별 지원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프로젝트 완수를 통해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과 포용금융 확대를 이뤄 우리금융 지속성장의 기반을 다지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