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정책실 신설, ‘AI 3대 강국 도약’ 본격 추진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정부조직법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을 계기로 부총리급 부처로 승격해 과학기술과 인공지능을 총괄하는 국가 컨트롤타워로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은 새 정부 국정과제인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뒷받침하고, 정부와 민간·지방자치단체의 역량을 결집해 국가 인공지능 혁신을 이끌기 위한 조치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세종정부청사./사진=과기부


과기정통부는 부총리 직속으로 ‘과학기술·인공지능정책협력관’을 신설하고, 범부처 협력을 위한 ‘과학기술·인공지능 관계 장관회의’를 설치한다. 단순 안건 처리 중심이던 기존 회의체와 달리, 국가 차원의 핵심 아젠다를 기획·공유하는 실질적 협력 플랫폼으로 운영한다는 구상이다.

인공지능 전담 조직은 기존 국 단위에서 ‘인공지능정책실’로 격상된다. 산하에 인공지능정책기획관과 인공지능인프라정책관을 두고 △산업 육성과 안전·신뢰 확보 △법·제도 설계 △인재 양성 △컴퓨팅·데이터·클라우드 등 핵심 인프라 확충 △공공·산업·지역 활용 지원을 전담한다.

아울러 국민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대변인 직위는 국장급에서 실장급으로 상향된다. 전문적이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과학기술·인공지능 정책을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홍보 기능을 강화한다는 취지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조직개편은 단순한 행정조직 변화가 아니라 과학기술과 인공지능을 통해 국민 생활과 경제·산업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이끌 국가적 대전환의 기폭제”라며 “부총리 역할을 무거운 책임감으로 수행해 국민 모두가 인공지능 혜택을 누리는 기본사회를 실현하고, 글로벌 경쟁에서 확실한 선도국가로 자리잡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