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의약품에 대한 100% 관세 부과가 돌연 연기됐다 (자료사진, 로이터=연합뉴스) |
[미디어펜=김종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월 1일부터 적용하겠다고 밝혔던 수입 의약품에 대한 100% 관세 부과가 연기됐다.
CNN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1일(현지시간)부터 부과하기로 했던 수입 의약품에 대한 100% 관세를 일단 유보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이와관련 “상무부는 제약사들이 제조를 미국으로 이전하고 약가를 ‘최혜국(Most Favored Nation)’ 수준으로 낮추려는 제안들을 계속 평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의약품 관세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했던 일정대로 의약품 관세가 시행되지 않을 것"이라면서 "아직 준비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민을 위한 약가 인하에 전념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관세를 활용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세 연기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백악관에서 화이자의 앨버트 불라 최고경영자(CEO)와 약가 인하에 합의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화이자에 이어 글로벌 제약사들은 다투어 미국 정부와 약가 인하 협상을 벌이고 있다. 화이자는 미국 내 약가 인하를 대가로 향후 3년간 관세부과를 유예받았다.
트럼프 대통령과 화이자 CEO의 백악관 회동 직후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제약업체들과의 협상이 국민에게 가장 중요한 사안이므로, 우리는 협상이 마무리될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BRG의 브뤼셀 지사장 사이먼 슈롭은 폴리티코에 “트럼프의 제약 관세 위협은 지나치게 과장되어 목표를 크게 벗어났다”면서 “이는 과도한 요구를 던지고, 주목받는 합의를 이끌어낸 후 흐지부지되는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미디어펜=김종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