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건설사 대표 대거 소환…‘면박주기식 소환 우려’
[미디어펜=조태민 기자]이재명 정부가 들어서고 처음 맞이하는 국정감사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건설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잇따른 건설현장 사고로 10대 건설사 대표들이 대거 소환되기 때문이다. 구체적 안전 방안이 없는 상황에서 대표들만 부르는 것은 무책임한 결정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 2025년 국정감사에 건설사 대표들이 대거 증인으로 채택되면서 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사진=미디어펜DB

8일 업계에 따르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오는 13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되는 국정감사에 주요 건설사 대표들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채택된 증인들은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정경구 HDC현대산업개발 대표,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사장, 허윤홍 GS건설 사장, 이해욱 DL그룹 회장,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 등이다. 삼성물산과 SK에코플랜트를 제외하면 시공능력평가 기준 10대 건설사들이 모두 집합한다.

지난해 국감에서 포스코이앤씨만 증인으로 채택됐던걸 고려하면 이번 국감은 이례적인 결정이다. 

건설 중대재해 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자, 국회가 직접 경영진을 불러 안전관리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실제로 국토위 소속 정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10대 건설사에서 발생한 사고 사망자는 총 113명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번 국감에서는 사고에 대한 책임 소재를 경영진에게 직접 묻고 잘잘못을 따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업계는 규제만 강화되고 대응 방안이 제대로 없는 상황에서 건설사 대표만 증인으로 부르는 것은 '면박주기식 국감'이 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사고 예방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은 뒤로 한채 건설사 대표들만 불러 책임소재를 묻는 것은 불공평한 일”이라며 “하도급 근절, 안전보건비용 확대 등 건설현장 안전강화를 위한 정책이 우선시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 밖에 10대 건설사를 제외하면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과 김원철 대표, 박세창 금호건설 부회장이 증인으로 확정됐다.

이 회장과 김 대표는 주택 공급·제도 개선 문제와 함께 김건희 여사 관련 질의가 함께 나올 가능성이 제기된다. 박 부회장은 지난해 7월 집중호우 당시 14명의 사망자를 낸 오송 지하차도 참사와 관련한 부실시공 의혹으로 증인으로 채택됐다. 
[미디어펜=조태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