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 급감에 대형 컨테이너선으로 선회…조선사 ‘일감 확보’ 총력
IMO 탄소가격제 도입 임박…친환경 LNG선, 교체 수요 재점화 기대
[미디어펜=이용현 기자]국내 조선업계가 최근 대형 컨테이너선 수주에 집중하고 있지만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 규제 강화 움직임에 따라 LNG운반선 수요가 다시 회복세를 탈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 한화오션이 건조한 200번째 LNG운반선인 SK해운社의 ‘레브레사(LEBRETHAH)’호 운항 모습./사진=한화오션 제공

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호황기를 맞았던 국내 조선사의 분위기는 다소 반전됐다. 지난해 대규모 수주로 이어졌던 고부가 선종 LNG 운반선 발주가 올해부터 급감하면서다. 실제 지난해 조선 3사는 LNG운반선을 48척 수주했으나 올해는 현재까지 18척 수주에 그쳤다.

그 영향으로 지난 8월까지 올해 신조 발주는 3448만 CGT(표준선 환산톤수)로 전년 동기 4014만 CGT 대비 14.1% 감소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국내 주요 조선사들은 올해 상반기부터 대형 컨테이너선 수주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해운사들이 IMO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 감축 설계를 반영한 초대형 컨테이너선 발주를 늘리면서다. 

지난달 29일에는 HD현대미포가 2224억 원 규모의 컨테이너선 3척을 수주했으며, 같은 달 17일에는 한화오션 역시 양밍해운으로부터 대형 컨테이너선 7척을 수주하는 등 수주 목표치 달성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모습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LNG선 시장이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최근의 LNG선 수요감소가 위축이라기보다 일시적인 수요 조정에 가깝다는 이유다.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지난 2~3년간 LNG선 발주가 집중되면서 선주들이 한동안 발주를 미뤄왔지만 IMO의 신규 규제 도입이 현실화되면 친환경 선박 교체 수요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하기도 했다.

실제 IMO는 이달 중 글로벌 탄소 요금제를 확정할 예정이다. 해당 제도는 총톤수 5000톤 이상 선박을 대상으로 탄소 배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일정 금액의 배출 비용 또는 보완조치(Remedial Units) 구입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사실상 탄소 과다 배출 선박에 ‘경제적 벌금’을 부과하는 셈이다.

이 규제가 본격 시행될 경우 업계에서는 연료 효율이 떨어지는 구형 선박의 경쟁력은 급격히 낮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글로벌 해운·조선·물류 전문 시장조사 기관 ‘Drewry’는 현재 증기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50% 이상이 2030년 말까지 해체될 것으로 예상하고 일부는 전환 기회를 찾을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결국 탄소집약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운항 제한이 불가피하다는 경계감이 확산되면서, 선박 교체 시점이 앞당겨지고 자연스럽게 신조 발주 수요가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IMO의 탄소가격제 도입이 현실화되면 친환경 신조선 발주가 급격히 늘 수밖에 없다”며 “LNG선은 이미 기술·인도능력 면에서 검증된 고부가가치 선종인 만큼 국내 조선소들이 다시 한 번 수주 우위를 점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용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