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지 기자]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오는 14일 취임 5주년을 맞는다. 2020년 10월 취임 이후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판매 5위에서 3위로 상승하며 토요타, 폭스바겐과 함께 '3강 체제'를 구축했다.
코로나19 팬데믹, 반도체 대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복합 위기 속에서도 현대차·기아의 합산 매출액은 163조 원(2019년)에서 282조 원(2024년)으로, 영업이익은 5조6000억 원에서 26조9000억 원으로 380% 급증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13조 원의 합산 영업이익으로 반기 기준 글로벌 2위에 올랐으며, 영업이익률 8.7%로 폭스바겐(4.2%)을 2배 이상 상회했다. 해외 주요 매체들은 정의선 회장을 2021년부터 매년 '올해의 인물'로 선정하며 혁신 리더십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
 |
|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사진=현대차그룹 제공 |
현대차그룹의 가장 두드러진 성과는 친환경차 부문이다. 2019년 37만 대에 불과했던 친환경차 판매량은 2024년 141만 대로 4배 증가했으며, 전체 판매 비중도 5.1%에서 19.4%로 급등했다. 전기차(PHEV 포함) 글로벌 판매 순위는 7위(중국 제외 시 3위), 수소전기차는 1위, 하이브리드차는 미국 시장 3위를 기록하며 모든 친환경 파워트레인에서 최상위권에 이름을 올린 유일한 기업이 됐다.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 EV9은 2022년부터 4년 연속 ‘세계 올해의 자동차’에 선정되는 등 상품성을 인정받았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개발하고, 광명 EVO Plant·미국 HMGMA 등 생산거점을 확충했으며, 하이브리드 혼류 생산 시스템을 도입해 친환경차 체질 개선을 완성했다. 향후 2030년까지 친환경차 563만 대 판매, 하이브리드 모델 28종 확대, 2027년 EREV(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 출시를 추진한다.
정 회장은 자동차를 넘어 인류의 이동 방식을 재정의하는 신사업에도 과감히 투자하고 있다. 2021년 세계적 로봇 전문기업 보스턴다이나믹스를 인수하며 로보틱스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 4족 보행로봇 '스팟', 물류로봇 '스트레치' 등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구축했고, 미국에 3만 대 규모의 로봇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근로자의 작업 부담을 줄이는 착용형 로봇 ‘엑스블 숄더’ 상용화에도 성공했다.
|
 |
|
▲ 정의선 회장 취임 5주년 글로벌 실적./사진=현대차그룹 제공 |
수소 부문에서는 'HTWO' 브랜드를 출범시켜 생산부터 저장, 운송, 활용에 이르는 전 밸류체인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정의선 회장은 수소위원회 공동 의장을 맡아 글로벌 수소 산업 협력 체계를 주도했으며, 올해 출시한 ‘디 올 뉴 넥쏘’는 1회 충전으로 최대 720km를 주행할 수 있어 시장의 호평을 받았다.
기아가 주도하는 목적기반차량(PBV) 사업도 본격화되고 있다. 대표 모델인 '기아 PV5'는 블록 조립식 차체 구조를 통해 고객의 요구에 따라 최대 16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는 혁신형 모빌리티다. 현대차그룹은 통합 소프트웨어 플랫폼 '플레오스(Pleos)'를 중심으로 차량 제어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2027년 말부터 레벨 2+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양산차에 순차 적용할 계획이다.
하늘 이동 영역으로 확장하는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2021년 미국에 전담 법인 '슈퍼널(Supernal)'을 설립해 전기식 수직이착륙기(eVTOL) 개발을 진행 중이며, 관련 인프라와 운항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있다.
|
 |
|
▲ 정의선 회장 취임 5주년 브랜드 가치./사진=현대차그룹 제공 |
현대차와 기아는 인터브랜드가 선정한 '2024년 가장 급성장한 브랜드'에 동시에 이름을 올렸다. 현대차 브랜드 가치는 5년간 63% 성장한 230억 달러, 기아는 역대 최고치인 81억 달러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과 고성능 브랜드 'N'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강화했고, 기아는 2021년 전면 리브랜딩으로 브랜드 혁신의 성공 사례로 꼽히고 있다. 출범 10주년을 맞은 제네시스는 PGA 투어 후원, 글로벌 예술 기관 파트너십 등을 통해 럭셔리 브랜드 위상을 확립했다.
정 회장은 양복에서 청바지로의 복장 변화가 상징하듯 수평적이고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정착시켰다. 그룹의 조직 만족도는 2019년 63.2점에서 2024년 78.6점으로 상승했고, 자발적 이직률은 현대차 0.39%, 기아 0.35%로 국내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현대차그룹의 성장은 대규모 국내 투자로 이어졌다. 2024년 국내 경제기여액은 대기업 중 1위를 기록했으며, 올해 24조3000억 원을 투자하고 7200명을 신규 채용했다. 내년에는 1만 명 규모의 청년 채용도 검토 중이다.
향후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통상 리스크 대응, 전기차 수요 둔화 극복, 신사업 수익성 제고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공급망 다각화, 하이브리드 라인업 확대, 지역 특화 전기차 출시 등 다각적 전략으로 불확실성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