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빅테크와 380MW급 가스터빈 2기 공급계약 체결
자회사 DTS와 시너지로 미주 시장 공략 ‘가속화’
[미디어펜=박준모 기자]두산에너빌리티가 국산 기술로 개발한 가스터빈을 미국 시장에 처음으로 수출하며 국내 발전 산업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특히 가스터빈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미국에 수출한다는 점에서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빅테크와 380MW급 가스터빈 2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내년 말까지 인도될 예정이다.

   
▲ 두산에너빌리티가 개발하고 제작한 380MW급 가스터빈./사진=두산에너빌리티 제공


이번 계약은 두산에너빌리티가 해외 시장에 가스터빈을 처음 수출하는 사례로, 국내 기술로 개발된 가스터빈의 수출 가능성을 보여준 성과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19년 국내 산학연과 함께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국산화에 성공하며 세계 다섯 번째로 가스터빈 기술을 확보했다. 

이후 김포 열병합발전소에서 1만5000시간 실증에 성공하며 성능을 입증했고, 이번 계약까지 총 8기의 가스터빈 공급계약을 연이어 체결하며 가스터빈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이번 수주는 AI(인공지능) 확산에 따른 글로벌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증가와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세계 각지의 데이터센터는 기존 전력망으로 수요를 충당하기 어려워 자체적인 전력 공급을 모색하는 중이다. 

이에 가스터빈은 설치 기간이 짧고 운영 효율이 높아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두산에너빌리티는자체 가스터빈 모델을 보유한 만큼 사업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또한 미국 휴스턴에 위치한 가스터빈 서비스 전문 자회사 DTS도 이번 수주에 힘을 보탰다. DTS는 향후 유지보수 및 정비 서비스를 담당하게 되며, 미국 내 서비스 네트워크 확대의 핵심 거점으로 기능할 예정이다.

손승우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BG장은 “이번 계약은 대한민국이 가스터빈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도약하는 뜻깊은 전환점”이라며 “품질과 납기를 철저히 지켜 고객 신뢰에 보답하고, 미국 등 해외 시장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두산에너빌리티 가스터빈은 친환경 발전 설비로도 주목받고 있다.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용 가스터빈은 초미세먼지 배출량이 석탄발전의 9분의 1 수준에 불과하며,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 주요 대기오염물질 배출도 석탄발전 대비 3분의 1 이하로 낮아 환경 친화성이 뛰어나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