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전국의 가축방역관 인력난이 심각하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가축방역관의 처우를 개선하고, 전문인력 양성화를 위한 획기적인 대책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회 국정감사를 앞두고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의원(경기 여주·양평)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가축방역관 현황자료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가축방역관 부족 인원은 673명으로, 적정 인원 대비 40.6%가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
 |
|
▲ 시도별 가축방역관(공무원) 현황(2025년 6월 기준)./자료=농식품부 |
가축전염병 예방법상 가축방역관 적정 인원은 전국 1657명으로 산정되지만, 가축방역관은 공중방역수의사 250명 외에 수의직 공무원 734명(정원 1094명)으로 총 984명에 불과한 상황이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적정 인원 27명 대비 10명 확보로 63%(17명)이 부족해 전국에서 가장 부족한 비율이 높았고, 뒤이어 전북(56.0%), 전남(50.5%), 경남(48.8%), 대전(47.1%) 순으로 집계됐다.
또한 가축방역관 적정 인원 대비 부족 현원의 절대 인원이 가장 많은 지역은 전북·전남으로, 각 108명 공석이고 경북 93명, 경기 87명, 경남 84명이 채워지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의 각 지자체는 공무직 가축방역관 확보가 매년 난항인 상황에서, 수의사법 제21조에 따라 가축방역관으로 위촉된 민간 수의사를 통해 방역 인력을 보강하고 있지만 부산과 세종은 단 한 명도 공수의를 위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수의사회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국내 수의사 면허를 보유한 인원은 2만3346명으로, 이 가운데 현업종사자는 1만5088명이다. 현업종사자 중 동물병원에 65%(9814명)가 종사하고 있다.
김선교 의원실은 이 같은 수의사의 동물병원 진료 쏠림 현상이 많은 배경에는 경제적 처우, 근무환경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주목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전국의 가축 방역을 담당할 인력 부족문제가 만성화되고 있다”면서 “정부는 가축방역관의 처우를 개선하고, 전문인력의 양성화와 가축방역 인력의 효율적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획기적 대책을 세워야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