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국가식품클러스터에 총 5961억 원을 투입했지만 목표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적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시)은 14일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성과가 당초 목표에 크게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
 |
|
▲ 국가식품클러스터 종합계획 대비 실제 성과 달성./자료=어기구 의원실 |
정부는 2007년 한미 FTA 체결에 따른 농식품 산업 보완대책으로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조성하고, 2012년 발표한 종합계획을 통해 2020년까지 매출 15조 원, 수출 3조 원, 고용 2만2000명 달성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국가식품클러스터 입주기업의 매출은 1조5812억 원으로 목표 대비 10.5% 수준에 머물렀으며, 수출액 역시 319억 원으로 목표치인 3조 원의 1%에 불과했다는 지적이다.
또 고용 인원은 1825명으로 목표의 8.3% 수준에 그쳤으며, 유치 기업·연구소도 계획(160개)에 미달한 129개 사(2024년 기준)인데다 산업단지 분양률은 76%로 여전히 미달 상태다.
입주기업의 지역 쏠림 현상도 문제로 거론됐다. 전체 130개 입주사 중 호남권 기업이 92개(70.8%)에 달했으며, 수도권(15.4%), 충청권(6.9%), 영남권(6.2%) 등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전국 단위 식품산업 육성을 목표로 한 정책 취지와 달리 지역 편중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2009년부터 2025년까지 총 5961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으며, 특히 최근 5년간 해마다 지원 규모가 확대되는 추세다. 실적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내년부터 2029년까지 제2단계(63만 평) 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므로 성과 제고를 위한 면밀한 점검이 요구된다.
어기구 위원장은 “K-푸드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으며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그 전진기지가 돼야 할 국가식품클러스터는 아직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정기국회를 통해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운영 실태를 전면 점검하고, 막대한 예산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