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난 탈원전 주의자가 아니라 탈탄소 주의자”라고 언급했다.
이는 14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기후부를 대상으로 한 윤상현 의원의 “장관님은 탈원전주의자냐”는 질의에 대한 김 장관의 답이다.
|
 |
|
▲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있다./사진=연합뉴스 |
하지만 윤 의원은 과거 김 장관의 탈원전 필요성을 강조했던 전력을 따져 물으며, 원전의 필요성에 대한 장관의 인식에 대한 질의를 집중적으로 이어갔다.
윤 의원은 “에너지정보문화재단에서 대국민설문조사를 했는데 국민의 87.2%가 ‘원전이 필요하다’고 답했다”면서 “우리 국민들은 원전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믿고 있는데 장관은 이를 알고 있는가”라고 물었다.
탈원전 주의자가 아니라는 장관의 답변에도 윤 의원은 “예전에 구청장 시절에는 원전 건설을 더 이상 하지 말자고 했고, 2년 전 민주당 정책위의장 때는 원전에 대해서 위험하다고 했다. 또 올해 4월에도 되지도 않은 원전 수출을 하지 말고, 탈원전 기술 패키지라는 새로운 원전모델이 필요하다는 등 과거 발언을 보면 탈원전주의자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김 장관은 “제가 구청장 때는 지역에 방사능 아스팔트 오염물질이 대폭 나왔었다”며 “원전이 여전히 위험한 것은 객관적인 사실이며, 원전이 99.99% 안전하더라도 그 0.01% 때문에 원전의 위험성을 강조하는 것이 적절하고, RE100에 포함되지 않는 이유도 원전의 위험성 때문으로 안전하게 관리해야 한다”라고 응수했다.
이어 조지연 의원도 김 장관의 최근 원전 관련 발언의 취지에 대해 명확히 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조 의원은 “(김 장관이)국민 공감이 필요하겠지만 신규 원전 건설은 불가피하다라고 했고,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도 원전을 추가로 짓는 것을 확정한 것을 감안해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합리적으로 믹스해나가겠다 했다”라며 “이는 2기 원전 건설은 그대로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를 하면 되는가”라고 질의했다.
김 장관은 이에 “조만간 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마련해야 하는데, 12차에서 11차 계획안의 검토했던 부분을 포함해 새로운 계획을 세울 때 그 부분도 참고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자 조 의원은 “그러면 3개월 지난 시점에서 장관이 입장을 뒤집는 것으로 해석해도 되는가, 원전 건설에 대한 명확한 장관의 입장을 밝혀달라”고 재차 답변을 요구했다.
이 같은 질의에 김 장관은 “11차 전기본이 현재 국가의 공식적인 전력기본계획이기 때문에 그것을 존중한다”면서도 “여러 요소들을 감안해 추후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도 말해 확답을 피해갔다.
한편 김 장관은 이날 국감에서 인사말을 통해 “탈탄소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국가 존속, 인류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 됐다”면서 “우리나라가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탄소문명을 종식하고 재생에너지 중심 탈탄소 녹색문명으로 대전환할 수 있도록 기후에너지환경부가 그 초석을 놓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태양광·풍력, 전기차, 배터리, 히트펌프, 수소, 가상발전소(VPP), 순환경제 등 탄소중립산업을 국가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도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