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이전 연내 완료·북극항로 시범운항 추진 등 5대 전략 제시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해양수산부는 15일 국회 국정감사 업무보고에서 ‘민생경제에는 활력을, 대한민국에는 희망을 주는 해양수산부’를 비전으로 제시하며 다섯 가지 핵심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전재수 장관은 “바다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전 장관은 먼저 해수부 부산 이전을 포함한 ‘해양수도권 육성’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정부는 이전 예비비 867억 원을 확보하고, 직원 정주 여건 지원 대책도 마련했다. 북극항로자문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을 체결해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고수온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어업인·지자체 협력으로 피해 규모를 작년의 13% 수준으로 줄였다고 밝혔다. 피해 어업인에게는 복구비 72억 원을 추석 전에 우선 지원했으며 남은 피해 복구도 신속히 추진 중이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된 25개 시스템 가운데 10개가 복구됐고, 나머지도 조속히 정상화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앞으로 △해양수도권 육성 △기후변화 대응 수산업 혁신 △친환경 스마트 해운항만 경쟁력 강화 △해양신산업 육성 △해양주권 수호 및 청정바다 관리 등 다섯 가지 전략을 중점 추진한다.

첫째, 해수부는 부산 이전을 연내 완료하고 내년부터 국적선사와 함께 북극항로 시범운항을 실시할 계획이다. 동남권 항만별 특화 인프라와 산업단지를 구축하고 이를 뒷받침할 범정부 추진체계를 갖춘다.

둘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어선·어업 관리체계를 총허용어획량 중심으로 개편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철폐한다. 양식업의 AI 기반 스마트 전환과 고수온 내성품종 개발을 지원하고, 수산물 비축 품목 확대 등 유통체계 개선도 추진한다.

셋째, 친환경 선박 전환과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해운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진해신항을 세계 최대 스마트항만으로 조성하고, 중소선사 지원과 물류체계 안정화도 병행한다.

넷째, 해양관광·레저·치유 산업 등 해양신산업을 집중 육성한다.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해양생태공원, 낚시복합타운 등을 확대하고, 해상풍력 사업은 어업인과 상생할 수 있도록 계획입지 지정과 이익공유 모델을 정착시킨다.

마지막으로 전 장관은 “서해 구조물 대응과 중국 불법어업 단속, 국익 기반의 어업 협상을 통해 해양주권을 수호할 것”이라며 “해양폐기물의 발생부터 수거·처리까지 전 주기를 관리하고 해양보호구역 확대를 통해 청정한 바다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