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20개국·아세안+3·동아시아 등 현안 협력 논의
재생에너지 중심 전환·에너지고속도로 정책 알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주요 20개국(G20)·동아시아 에너지전환 장관회의가 오는 17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말레이시아에서 연이어 열려 다자 협의체 간 기후·에너지·환경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주요 20개국과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장관회의에서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전환, 에너지 안보 등 국제 현안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 G20 에너지전환 장관회의 연도별 주요 의제./자료=기후부


우선 지난 10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개최된 주요 20개국(G20) 에너지전환 장관회의와 16일부터 이틀간 케이프타운에서 열리는 G20 환경·기후 장관회의를 비롯해 1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되는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에너지 장관회의를 통해 각국과 협력을 심화할 예정이다.

주요 20개국 장관회의의 경우,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주최하며 ‘평등·연대·지속가능성’이라는 공통 주제 아래 환경·기후, 에너지 등의 분야별로 진행된다. 이번 행사의 참여 대상에는 G20 회원국과 초청국, 국제기구 등이다.

G20 회원국은 대한민국을 비롯해 의장국인 브라질,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이탈리아,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 멕시코, 인도네시아, 튀르키예, 호주, 아르헨티나, 사우디, 유럽연합(EU), 아프리카 연합(AU) 등이다. 

초청국은 UAE, 이집트, 나이지리아, 뉴질랜드, 싱가포르, 스페인, 노르웨이, 포르투갈, 네덜란드, 덴마크, 핀란드, 아일랜드, 스위스 등이며, 국제기구로는 유엔(UN), 유엔개발계획(UNDP),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은행(WB), 유네스코(UNESCO) 등이 참여한다.
  
앞서 열렸던 주요 20개국 에너지전환 장관회의에서는 에너지안보, 에너지 경제성 확보, 취약계층의 에너지 접근성 개선, 공정하고 포괄적인 에너지 전환, 청정기술 기반의 지속 가능한 산업화, 지역 전력 통합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행동계획, 자발적 원칙, 정책지침 도구 등이 마련됐다. 

특히 아프리카 및 개도국 역내 에너지 불평등과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안정적·경제적·신뢰가능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시스템 추진 방안이 논의됐다. 

우리나라는 10월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의장국의 지위로서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중심의 대전환 및 에너지고속도로 정책 계획을 소개하고 탄소중립 산업 육성 등을 통한 탈탄소 녹색 대전환의 의지를 표명했다.

이어 열리는 주요 20개국 환경·기후 지속가능성 장관회의에서는 △생물다양성 △토지황폐화 △기후변화 △화학물질 및 폐기물 관리 △대기질 △해양 등 6개 주요 의제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인 환경 현안과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1월 부산에서 열린 유엔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간 협상위원회에서 보여준 국제적 위상과 올해 6월 세계 환경의 날 기념행사를 통해 강조한 ‘플라스틱 오염 종식’ 의지를 바탕으로 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 간 협력을 촉구하는 제7차 유엔환경총회 결의안에 대한 지지를 요청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 10월 새롭게 출범한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중심으로 기후변화, 에너지, 환경을 아우르는 통합적 정책 추진을 통해 국제사회의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17일 개최되는 아세안(10개국)+3(한·중·일) 및 동아시아(18개국) 에너지장관회의에서는 지속가능한 번영을 위해 아세안 및 동아시아 역내의 에너지 연계성, 에너지 회복력을 강조하며, △에너지안보 △재생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 효율화 △청정에너지 관련 협력 방안을 진전시키기 위한 논의도 펼친다. 

회원국들은 에너지 안보, 탈탄소화, 포용적 전환의 동시 추진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한중일의 기술 및 정책 협력 확대로 아세안 역내 에너지 회복력 및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특히 해저 케이블 및 전력망 등을 활용한 전력망 기반시설 구축 계획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기후부는 이번에 연속적으로 열리는 4개 국제회의를 통해 새 정부 출범 이후 기후에너지·환경 분야 통합부처로서의 정책 방향을 국제사회에 공유하고,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환경정책 추진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은해 기후부 국제협력관은 “앞으로도 주요 20개국, 아세안+3 등 주요 다자협의체에 적극 참여해 우리나라가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실행 국가이자 책임 있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전 세계 탈탄소 녹색문명 전환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