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허가 없이 재산 거래 금지…자산 동결로 실질적 압박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등 외국인 대상 납치·감금·살인이 계속됨에 따라, 정부가 이달 중 관련 범죄조직을 대상으로 금융 제재에 착수할 전망이다. 앞서 미국과 영국 정부가 캄보디아 범죄단지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 그룹(Prince Group) 등을 공동 제재한다고 밝힌 바 있는데, 한국 정부도 실질적인 압박에 나서는 모습이다.

   
▲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구금된 한국인들이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송환되고 있다. 이날 송환에는 경찰 호송조 190여명이 투입됐다. 2025.10.18 [공동취재]./사진=연합뉴스 제공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캄보디아 범죄 관련자를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방안이 현실화되면 금융위는 공중협박 자금조달이나 대량살상무기 확산 등과 관련된 개인·법인·단체를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로 지정·고시할 수 있다. 대상자로 지정된 자들은 금융위의 사전 허가 없이 금융·부동산·채권 등 재산 거래를 할 수 없게 된다. 사실상 자금동결과 동일한 조치다.

현재 캄보디아 범죄조직의 국내 자산 규모는 알려지지 않은 상태다. 다만 한국인 피해자와 브로커 등 다수가 연루된 정황이 있는 만큼, 범죄 자금의 연결고리를 차단하고 정부 대응 의지를 보여주는 조치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유력 제재 대상으로 캄보디아 프놈펜의 '프린스 그룹'과 금융서비스 기업 '후이원 그룹(Huione Group)' 등이 거론된다. 프린스 그룹은 부동산·금융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캄보디아 경제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해 온 거대 기업집단이다. 최근 국제사회에서 인신매매·온라인 사기·불법 감금 등 각종 강력범죄의 배후 조직으로 지목된다. 후이원 그룹은 사기·탈취를 통해 확보한 가상화폐 자금을 수년간 세탁해온 혐의를 받는다.

미국과 영국 정부는 최근 이들을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규정한 동시에 강력한 제재안을 발표했다. 이에 금융위를 비롯한 관계부처는 사안의 긴급성과 범죄의 심각성을 고려해 이달 중 제재에 나설 전망이다. 

아울러 FIU는 연내 캄보디아를 비롯한 동남아 지역 범죄자금의 '가상자산 세탁' 등 테마 점검도 할 예정이다. FIU는 지난 17일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닥사)가 국내 가상자산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개최한 '동남아 범죄자금 사례 공유회'에서 이 같은 방침을 전달한 바 있다. 

또 FIU는 고위험 고객으로 분류될 경우 관련 법상 거래 중지를 할 수 있다는 점도 안내했다. 이와 함께 프린스 그룹 등이 미국과 영국의 제재 리스트에 오른 만큼, 해당자와 거래할 경우 2차 제재(제재 대상자의 거래상대방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을 업계에 경고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