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판별키트’ 첫 시연… 실뱀장어 자원관리 강화도 병행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해양수산부는 23일 부산에서 ‘제3차 실뱀장어 자원관리 민·관 협의체 회의’를 열고 극동산 뱀장어의 CITES(멸종위기종 국제거래협약) 부속서Ⅱ 등재 저지를 위한 대응 전략과 실뱀장어 자원관리 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 해양수산부 청사./사진=미디어펜


이번 회의는 내년 1월 우즈베키스탄에서 열리는 제20회 CITES 총회를 앞두고 마련된 것으로, 해양수산부와 국립수산과학원, 지자체, 수협중앙회, 한국수산자원공단, 한국민물장어생산자협회,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관측센터 등 관계기관과 전문가가 참석한다.

그동안 정부는 협의회를 중심으로 업계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극동산 뱀장어의 부속서Ⅱ 등재가 부당하다는 과학적 논거를 마련하고, 동북아 주요 양식국과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외교부와 협력해 지난 9월 30일 장관 명의 외교 서한을 각국에 발송하고, 현지 대사관을 통해 등재 반대 지지를 요청해왔다.

이 같은 외교적 노력과 과학적 근거 제시에 따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자문단은 “뱀장어 전체 종을 CITES 부속서Ⅱ에 등재하는 것은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린 바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뱀장어 등재 추진 동향과 정부 대응 상황을 공유하고, 총회 현장 대응 전략을 점검한다. 특히 국립수산과학원이 개발한 ‘현장용 신속 종판별 키트’의 시연이 예정돼 있다. 이 키트는 극동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를 20분 이내에 정확히 판별할 수 있으며, 향후 상용화가 추진된다.

유럽연합(EU)은 지난 6월 “유럽산과 타 지역산 뱀장어 구별이 어렵다”며 모든 종을 CITES 부속서Ⅱ에 등재하자는 제안을 낸 상태다. 해수부는 이번 키트가 해당 주장에 대한 과학적 반박 근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 자료는 CITES 사무국과 FAO 자문단에 제출됐으며, 장관 명의 서한에도 첨부됐다.

아울러 해수부는 CITES 등재 여부와 별개로, 극동산 뱀장어의 지속 가능한 자원관리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양식장 실뱀장어 입식량 관리와 자원 회복방안 등도 논의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 뱀장어 양식장은 614개소로, 연간 1만 6000톤(5139억 원 규모)을 생산하고 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실뱀장어는 내수면 양식산업의 핵심 자원으로 CITES 논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관리체계를 확립하겠다”며 “이번 논의 결과를 토대로 방류효과 조사와 유전자 기반 종 판별 기술 보급 등 후속 정책을 구체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