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장관, 간담회 주재…풍력 업계·관계자 의견 수렴
“풍력 본격 보급 확대, 산업 생태계 적극 육성 계획 추진”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는 부처 출범 이후 김성환 장관이 주재하는 첫 풍력 업계 간담회를 22일 오전 한강홍수통제소에서 개최하고, 풍력발전 보급 가속화를 위한 업계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다. 

   
▲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 이후 김성환 장관이 주재하는 첫 풍력 업계 간담회가 22일 열렸다./사진=기후부


이날 간담회에는 두산, 유니슨 등 터빈 업체를 비롯해 한화오션, 에이치디(HD)현대중공업, 성동조선 등 주요기자재 업체와 에스케이(SK)이노베이션이앤에스(E&S),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CIP), 크레도(KREDO), 지에스(GS)윈드 등 국내외 개발사 임직원, 전문가, 풍력 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성환 장관은 “기후부 출범은 화석연료 중심의 탄소문명을 조속히 재생에너지 기반 탈탄소 녹색문명으로 대전환하는데 초석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기후부는 과거 환경부가 주로 담당해 온 규제 중심의 역할에서 벗어나, 녹색문명의 주인공으로 거듭나기 위한 진흥 측면에 방점을 두고, 재생에너지 대전환의 선두부처 역할에 매진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김 장관은 “풍력발전의 보급 확대와 함께 관련 산업 생태계를 적극 육성해 나갈 것”이라면서, “해상풍력은 선행 프로젝트의 성공적 안착을 통해 국가 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계획이며, 육상풍력은 장관 주재 범정부 TF를 조속히 출범시켜 업계 인허가 문제를 원스탑으로 해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업계는 △육상풍력 범정부 전담반(TF) 출범 △해상풍력 범정부 전담반(TF)을 통한 신규사업(프로젝트) 인·허가 지원 △해상풍력특별법 하위법령 제정 등 풍력발전 현장의 목소리와 애로사항을 적극 반영해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향후에도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업계, 관련 전문가와 함께 풍력 보급 가속화를 위한 정책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소통해 최적의 전략을 모색할 예정이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