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지난해 10월 25일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1단계, 8000개)를 대상으로 우선 시행된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가 오는 25일 의원 및 약국(2단계, 9만7000개)으로 확대돼 모든 요양기관(10만5000개)을 대상으로 시행된다.

   
▲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위원회는 23일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2단계 확대 시행을 앞두고 금융감독원, 보험개발원, 생·손보협회 등 유관기관과 점검회의를 개최해 요양기관의 청구 전산화 시스템 ‘실손24’ 연계 현황을 점검하고 참여 확대방안을 논의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총 1만920개 요양기관이 연계돼 ‘실손24’ 앱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병원 창구 방문 없이’ ‘복잡한 서류 없이’ 실손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 요양기관 수 기준 연계 완료율은 10.4%로 1단계 병원급 의료기관 및 보건소 연계율은 54.8%(4290개), 2단계 의원 및 약국 연계율은 6.9%(6630개)다.

지난 실손전산시스템운영위원회 회의 후 대한약사회(약국 1만2000개)와 대한한의사협회(한의원 3200개) 등 의약단체가 실손24에 참여의사를 밝히면서 연계 의원과 약국 수는 지속 확대될 전망이다. 실손24 참여 EMR(전자의무기록처리)업체 이용 요양기관이 모두 연계되는 경우 50.8%(5만3066개) 연계가 예상된다.

금융위는 네이버, 토스 등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청구 전산화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데도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전산개발을 거쳐 빠르면 다음달부터 플랫폼 앱을 통해 ‘실손24’ 서비스를 동일하게 이용 가능하며, ‘실손24’ 앱 설치 없이도 가입 보험사 조회부터 보험금 청구까지 플랫폼 내에서 모든 과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플랫폼을 통한 ‘실손24’ 청구건에 대해서는 소비자에게 별도로 포인트 캐시백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 향후 플랫폼이 제공하고 있는 고유 서비스와도 연계해 병원 예약부터 보험금 청구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개선할 계획이다.

‘실손24’에 참여하는 요양기관에 대해서는 신용보증기금 보증료 5년간 0.2%포인트(p) 감면, 배상책임보험 등 일반보험 보험료 3~5% 할인 등 인센티브가 부여될 예정이다.

요양기관과 EMR 업체의 소관 부처인 보건복지부의 의료행정과 연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향후 종합병원 ‘의료질평가’ 시 요양기관의 청구 전산화 연계 여부를 반영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 응급의료포털(E-gen)에는 요양기관별 청구 전산화 연계 여부를 표기해 소비자에 대한 정보제공을 확대하고, 요양기관 선택권을 제고할 예정이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