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주택담보대출은 물론 신용대출까지 문턱이 막히면서 자금줄이 막힌 차주들이 자동차담보대출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카드론까지 6.27 규제 안에서 신용대출에 포함돼 대출한도가 연소득 이내로 제한되면서 자동차담보대출이 서민의 급전창구 역할을 하는 모습이다. 자동차담보대출은 신용대출이 아닌 기타 대출로 분류돼 규제에서 제외됐다.
| |
 |
|
| ▲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23일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6·27 대책 다음날부터 2개월 동안 저축은행이 받은 개인 자동차담보대출 신청은 24만8000건으로 집계됐다.
6월 30일부터 7월 11일까지 열흘 동안에만 저축은행권에 접수된 자동차담보대출 신청은 2만7369건에 달했다.
영업일 기준 일평균 5636건으로, 대출 규제 이전인 올해 1~5월 일 평균 신청 건수인 2230건보다 약 15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일 평균 대출 취급액도 67억9000만원에서 84억9000만원으로 약 25%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저축은행의 개인신용대출 일 평균 취급 건수는 4930건에서 3614건으로 약 27% 감소했고, 상호금융 역시 500건에서 409건으로 약 18% 줄었다.
저축은행 자동차담보대출은 신용점수만으로는 원하는 만큼 대출을 받기 어려운 차주들이 소유 자동차를 담보로 한도를 늘리려고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저축은행권에서 자동차담보대출을 취급하는 곳은 SBI·OK·페퍼·상상인·스마트·키움·키움YES·동원저축은행 등이다.
대출 규제에서 빗겨간 소액신용대출도 취급액이 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저축은행 소액신용대출은 1조2880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1473억원) 대비 12.3% 증가했다. 저축은행 소액신용대출이 1조2000억원을 넘어선 것은 2008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최근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시중은행과 2금융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신용도가 낮은 차주들이 자동차담보대출과 소액신용대출 같은 상품으로 몰린 것이다.
이처럼 대표적 불황형 대출로 꼽히는 자동차담보대출과 소액신용대출이 늘면서 부실위험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자동차담보대출의 경우 매년 자동차의 감가상각이 진행되고, 소액신용대출의 경우에도 신용도가 낮은 차주가 이용하는 상품으로 리스크가 높다.
이에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자동차담보대출은 신용대출과 달리 유형자산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차량의 감가상각률을 반영해 대출 한도와 금리를 산정한다. 소액신용대출은 저신용 차주를 대상으로 하지만 금액이 최대 300만원 정도로 적어 건전성 관리에 무리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6.27 규제 이후 급전이 필요한 고객의 수요가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자동차담보대출과 소액신용대출로 쏠리고 있는데 여기에 경기 침체, 고물가 등이 더해지면서 당분간 이 같은 불황형 대출의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