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부문 매출 확대·수주 목표 달성 가시권…연매출 10.5조원 상회 전망
[미디어펜=이용현 기자]삼성중공업은 올해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며 매출 2조6348억 원, 영업이익 2381억 원을 기록했다고 23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 영업이익은 무려 99% 증가한 수치다.

   
▲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사진=삼성중공업 제공

영업이익의 급증은 저선가 컨테이너선 매출 비중이 감소하고 고수익 선종인 해양플랜트 부문 매출이 확대되면서 제품 믹스(Product-Mix)가 개선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해양부문은 고부가가치 프로젝트 중심으로 수익성이 높아 실적 개선에 핵심 역할을 했다.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 7.8조 원, 영업이익 5660억 원을 달성하며 연초 제시한 연간 매출 가이던스 10.5조 원을 초과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4분기에도 2023년 이후 선가 상승기에 수주한 선박과 해양 프로젝트의 매출 인식이 본격화되면서 실적 개선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다.

수주 실적도 견조하다. 삼성중공업은 10월 현재까지 총 27척, 약 50억 달러 규모의 선박을 수주했다. 상선 부문에서는 연간 목표 58억 달러 중 74%에 해당하는 43억 달러를 이미 확보했으며 해양 부문에서도 7억 달러를 수주한 상태다. 

연내 코랄 FLNG와 델핀 FLNG 프로젝트 수주가 마무리되면 해양 부문 수주 목표 40억 달러 달성도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수주에는 LNG운반선 7척, 셔틀탱커 9척, 대형 에탄운반선 2척, 원유운반선 6척, 컨테이너선 2척, 해양생산설비 예비 계약 1건이 포함됐다. 특히 셔틀탱커와 LNG선은 고수익 선종으로, 향후 수익성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해양 시황도 긍정적이다.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미국의 LNG 수출 프로젝트 승인과 물동량 증가를 배경으로 2027년까지 연간 80~100척 규모의 LNG운반선 발주가 예상된다. 

실제로 2025년에는 50척, 2026년에는 100척, 2027년에는 80척이 발주될 것으로 전망된다. 컨테이너선과 유조선 역시 친환경 규제 대응 및 노후선 교체 수요가 맞물리며 발주 확대가 기대된다.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분야도 중장기 LNG 수요 증가와 현재 진행 중인 글로벌 개발 프로젝트를 고려할 때 지속적인 발주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중공업은 이 분야에서도 기술력과 실적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상선과 해양 모두 현재 수주 안건 진행 상황을 감안할때 올해 수주목표 달성은 가능할 것" 이라며 "앞으로도 양질의 수주를 바탕으로 수익성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용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