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용현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는 27~29일 일본 방문을 계기로 미일 양국 정부가 조선업 분야 협력 각서 체결을 추진 중이라고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현지 언론이 26일 보도했다.
| |
 |
|
| ▲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지난 24일 국회 중의원에서 첫 소신표명 연설을 하고 있다./사진=UPI 제공 |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번 협력 각서는 양국이 조선 분야 실무 그룹을 구성해 미국에 대한 투자 촉진과 기술 혁신 등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각서 초안에는 “강력하고 혁신적인 조선산업이 양국의 경제안보, 경쟁력에 중요하다”고 명시돼 있으며 선박 설계와 부품 공통화, 인재 육성 강화 등도 검토 대상이다.
조선업은 미일 간 관세협상에서 일본의 5500억 달러(약 80조 원) 규모 대미 투자 분야 중 하나로 반도체, 의약품, 양자기술과 함께 전략 산업으로 분류된다. 협력 각서는 가네코 야스시 일본 국토교통상과 조지 글라스 주일 미국 대사가 서명하는 방향으로 조율되고 있다.
양국은 이번 조선업 협력 외에도 인공지능(AI), 차세대 통신 등 과학기술 분야 협력 각서를 교환할 예정이다. 28일 트럼프 대통령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간 정상회담에서는 희토류 등 중요 광물의 공급력 강화를 위한 협력 문서도 체결될 전망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방일 기간 중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피해자 가족과의 면담 요청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측은 면담을 강하게 요구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지지통신은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지지통신은 이와 관련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동 의지를 거듭 밝힌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의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시절인 2017년 유엔 연설에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언급했으며 2017년과 2019년 일본 방문 당시 납북자 가족과 면담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방일이 미일 간 전략 산업 협력 확대와 함께 북핵·납북자 문제 등 동북아 안보 이슈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외교 일정이라는 평가다.
[미디어펜=이용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