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용현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9일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방한하면서 국내 주요 조선소 방문 가능성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조선소를 찾는다면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에 대한 상징적 지지가 될 뿐만 아니라, 교착 상태에 빠진 관세 협상에도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
|
| ▲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취임선언문을 들어 보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
2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현재 방문 후보지로는 국내 ‘빅3’ 조선소인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가 거론되고 있다.
특히 이 중에서도 한화오션 거제조선소가 가장 유력한 방문지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 펜실베니아주에 위치한 한화필리조선소가 ‘마스가’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트럼프사 회장이던 1998년에도 대우중공업(현 한화오션)의 옥포조선소를 방문해 건조 중인 선박을 둘러보고, 즉석에서 개인 요트를 발주한 바 있다. 이번 방한에서도 조선업에 대한 그의 지속적인 관심이 재확인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는 기대를 걸고 있다.
아울러 경주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과의 지리적 접근성을 고려하면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도 유력한 후보지로 떠오르고 있다. 울산조선소는 헬기 이착륙장과 귀빈실을 갖추고 있어 최소 동선으로 방문이 가능하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1박 2일 일정이 빡빡하게 짜여 있어 실제 방문이 물리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그는 29일 입국 후 이재명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뒤 APEC CEO 오찬 기조연설과 정상 만찬 등 일정을 소화하고, 다음 날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자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에 따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대신 조선소 방문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도 나왔지만 아직 세 조선소 모두 공식적인 일정 통보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캐나다 마크 카니 총리는 APEC 참석 이후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직접 방문할 예정이다. 캐나다 정부가 추진 중인 60조 원 규모의 잠수함 건조 및 유지보수 사업과 관련해 협력 가능성이 주목된다.
[미디어펜=이용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