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산업통상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9일 서울 엘리에나 호텔에서 EU의 최신 기술규제 동향 파악 및 대응 방안 논의를 위한 ‘글로벌 기술규제 대응 포럼’을 열었다고 밝혔다.
| |
 |
|
| ▲ 산업통상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최근 EU는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제품 설계부터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기술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에코디자인과 디지털 제품 여권(DPP),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 제한 등 환경 및 화학물질 규제는 우리 기업들의 EU 수출 시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국표원은 유럽화학물질청 국장과 EU 집행위원회 과장 등 EU 내에서 규제를 담당하는 정책 당국자들을 초청해 우리 기업들이 궁금해하는 세부 정보와 불명확한 내용에 대한 답변을 들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이번 포럼을 통해 우리 기업들은 EU 측에 과도한 제품 및 공급망 정보 공개에 우려를 표하고, 제품 정보공개를 위한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시를 요청했다. 또 화학물질에 있어서도 산업계가 수용 가능한 규제가 이뤄지기를 희망했다.
김대자 국표원장은 "이번 포럼이 EU의 최신 환경 및 화학물질 규제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이해를 높이는 소중한 기회였다"며 "앞으로도 한-EU 정부 간 긴밀한 소통을 통해 우리 수출기업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