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김대건 신부 이어 대한민국 인물 중 세 번째 지정
[미디어펜=김성준 기자]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는 백범 김구 선생이 유네스코(UNESCO)가 지정하는 2026년 ‘유네스코 세계 기념해’ 인물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 백범 김구 선생./사진=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제공


유네스코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에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열린 제43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백범 김구 선생(1876~1949) 탄신 150주년을 맞아 2026년 세계 기념 인물로 선정하였다.

‘유네스코 세계 기념해’는 회원국이 제안하는 역사적 인물 및 사건을 국제적 차원에서 기념하고 평화·화해·교육·과학 등 가치를 증진하기 위해서 50주년, 100주년 혹은 그 이상의 기념에 맞춰 2년 단위로 선정하는 사업으로 1957년부터 이어져 오고 있다.

이번 지정은 2012년 다산 정약용 탄생 250주년, 2021년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탄생 200주년에 이어 한국 인물로서는 세 번째다. 유네스코는 김구 선생의 ‘교육을 통한 문화강국 건설’과 ‘평화의 실현’에 대한 신념이 유네스코 헌장의 정신과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백범 김구 선생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이끌며 독립운동에 헌신했으며, 광복 이후에는 남북통일을 위해 분단을 넘어선 협력을 호소했다. 국가 보물로 지정된 백범 김구 선생의 자서전 ‘백범일지’에 수록된 ‘나의 소원’은 세계 보편적 가치인 ‘인류 평화’, ‘높은 문화의 힘’, ‘교육의 중요성’ 등을 강조하고 있다.

박유철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회장은 “이번 유네스코 세계 기념해 선정은 미래 세대에게 백범 김구 선생이 꿈꿨던 ‘높은 문화의 힘을 지닌 나라’의 의미를 되새기고 ‘인류애’라는 메시지를 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지정이 있기까지 애써 준 관계자들에게 감사드리며, 특히 백범 김구 선생의 손녀사위인 김호연 빙그레 회장의 적극적인 지원이 없었다면 (이번 지정이) 불가능 했을 것”이라며 감사를 전했다.

한편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백범김구기념관·김구재단은 2026년 한 해를 ‘김구 탄신 150주년 세계 기념해의 해’로 선포하고 국내외 기념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미디어펜=김성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