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석원 문화미디어 전문기자] 시대가 지워버린 여성들의 이름을 다시 써 내려가는 '양양'이 여성 감독들의 극찬으로 채운 리뷰 포스터를 공개하며 화제를 모은다.
제32회 핫독스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를 비롯해 국내외 유수 영화제의 선택을 받은 양주연 감독의 데뷔작 '양양'은 늦은 밤 걸려온 아빠의 전화 한 통으로 고모 ‘지영’의 존재를 처음으로 알게 된 ‘주연’이 지워진 그의 흔적과 함께 기록되지 못한 수많은 이름들을 발견해 나가는 호명 다큐멘터리이다.
공개된 리뷰 포스터는 가족들의 판도라 상자 속 오랜 시간 갇혀 있던 고모 ‘지영’의 시간을 은유하는 듯한 검은 공간과 그 안을 응시하는 ‘주연’의 모습을 함께 담고 있어 눈길을 끈다. 그 주위를 채운 국내 대표 여성 감독들의 다양한 리뷰는 가족의 비밀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용기부터 새로운 여성 연대의 발견 등 영화 속 감동을 암시하며 기대를 불러일으킨다.
| |
 |
|
| ▲ 여성 감독들의 찬사가 담긴 영화 '양양'의 리뷰 포스터. /사진=영화사 금요일 제공 |
먼저, '화차'의 변영주 감독은 “모두를 불편하게 만드는 질문을 시작하는 용기”라는 평을 선사,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이유로 가족들 사이의 금기가 되어버린 ‘지영’의 흔적을 새롭게 발굴하는 영화만의 시도에 찬사를 전한다.
'고양이들의 아파트'의 정재은 감독은 “아주 평범한 듯 비범한 영화”라는 극찬을 남기며, 개인의 가족사에서 시작해 한국 가부장제의 민낯과 여성들이 경험하는 차별과 폭력 등 우리 사회에 필요한 여성주의적 담론으로 나아가는 연출력에 놀라움을 전했다.
또 “한국 사회의 기록이면서 애도의 영화” ('세기말의 사랑'의 임선애 감독), “잊혀져 간 여성들을 기억하고, 위로하며 발굴해 낸다” ('럭키, 아파트'의 강유가람 감독) 등의 평은 시대가 지워버린 수많은 여성들의 이름을 다시 호명하고 기록하는 서사를 향한 먹먹함을 불러일으킨다.
이어 '카트'의 부지영 감독의 “가족의 비밀을 쫓는 여정이 나의 오늘과 만날 때”, '기억의 전쟁'의 이길보라 감독의 “가부장적인 역사 속에서 나와 고모의 자리를 만들겠다는 선언이자 움직임” 등의 리뷰는 어제에 남겨진 ‘지영’의 이야기를 통해 오늘을 살아가는 여성들의 자리를 되짚는 영화만의 연대를 예고, 세대를 연결하는 또 다른 여성 서사의 탄생을 알리고 있다.
여성 감독들의 응원으로 가득 채운 리뷰 포스터를 공개한 '양양'은 전국 극장에서 상영 중이다.
[미디어펜=이석원 문화미디어 전문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