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10월 말 기준 케이-푸드 플러스(K-푸드+) 수출액이 112억 4000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5.7%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농식품과 농산업이 모두 고른 상승세를 보이며 라면·조제품 기타·김치·포도 등 식품류와 함께 동물용의약품·농약·비료·종자 등 농산업 품목이 수출 성장세를 이끌었다.
| |
 |
|
| ▲ 농림축산식품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농식품(K-푸드) 수출은 85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중동(GCC, 20.4%↑), 유럽연합(EU+영국, 14.8%↑), 북미(13.9%↑) 순으로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7~10월에는 미국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된 반면(0.6%↑) 중동(23.5%↑)과 중화권(7.7%↑)에서 수출이 크게 늘었다. 중동에서는 아이스크림(80.7%↑), 음료(80.3%↑), 소스류(33.9%↑)가, 중화권에서는 라면(62.9%↑), 조제품 기타(19.4%↑), 포도(122.7%↑)가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같은 기간 주요 수출 품목은 라면(21.7%↑), 조제품 기타(13.6%↑), 커피조제품(21.3%↑), 김치(6.4%↑), 포도(50.9%↑), 아이스크림(22.1%↑) 등이다. 라면은 ‘매운 볶음면’ 등 K-콘텐츠 인기에 힘입어 중국, CIS, 일본,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확대됐다.
조제품 기타는 건강기능식품·이너뷰티 제품 수요 증가로 수출이 늘었으며, 커피조제품은 스틱형·RTD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 경쟁력으로 시장을 확장했다. 김치는 일본·캐나다·대만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했고, 포도는 대만 사전등록제 도입 효과로 수출이 급증했다. 아이스크림은 북미와 유럽에서 저지방·식물성 제품의 수요가 증가했다.
농산업 수출도 26억 4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7.8% 증가했다. 동물용의약품(24.9%↑), 농약(16.0%↑), 비료(10.5%↑), 종자(9.9%↑)가 고르게 성장했다. 특히 동물용의약품은 유럽 시장에서 중국산 라이신 대체 수요로 수출이 크게 확대됐다. 농약은 베트남·중국·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시장 중심으로 완제품 수요가 늘었고, 비료는 국제가격 상승과 함께 동남아 지역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했다.
종자는 미국·중국 등에서 한국산 고추 종자의 인기가 높아지며 전년 대비 34% 이상 늘었다.
김정욱 농업혁신정책실장은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품목별 품질 경쟁력을 토대로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이 10월 기준 5% 이상 성장했다”며 “연말까지 물류·통관 지원과 글로벌 판촉 등을 강화해 올해 수출 목표 140억 달러 달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