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동국제약, 1조원 클럽 목전…3분기 두드러진 '성장'
보령·한미·대웅도 견조한 성장세…주요 제품군 판매 호조 견인
[미디어펜=박재훈 기자]올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외형 성장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전통 대형 제약사뿐 아니라 신흥 강자로 떠오른 중견 제약사들이 매출 1조 원 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신약 및 바이오의약품의 글로벌 시장 진출 성과와 전문의약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강화가 성장을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 HK이노엔 스퀘어./사진=HK이노엔


1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조 원 클럽에 진입하는 제약사가 전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HK이노엔과 동국제약의 1조 원 클럽 가입이 유력한 가운데 제약바이오 산업 전반의 외형 확대와 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

HK이노엔은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 7713억 원, 영업이익 708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6%, 10.9% 증가했다. 올해 3분기 실적은 매출 2608억 원, 영업이익 25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7%, 16.4% 늘어나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동시에 이뤄졌다.​

HK이노엔의 이같은 실적 호조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이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케이캡의 3분기 처방 실적은 5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4% 성장했다. 케이캡은 기존 프로톤펌프억제제(PPI) 계열 제품보다 약효가 빠르게 나타나고 식사 영향 없이 복용 가능한 장점으로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여기에 기초수액과 영양수액 매출도 각각 13.9%씩 고성장하며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권해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HK이노엔이 3분기 시장추정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거뒀다"며 "2027년부터는 미국에서 로열티 수익 반영과 중국 마일스톤 확대, 수출 지역 확대 등 해외에서 실적 고성장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동국제약 역시 매출 1조 원 클럽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금융정보 업체 에프엔가이드의 컨센서스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동국제약의 매출은 2240억 원, 영업이익 23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로 매출은 11.5%, 영업이익은 2.22% 증가한 수치다. 동국제약의 상반기 누적 매출은 총 4572억 원으로 남은 연내 실적에 따라 1조 원 클럽 등극이 유력하다. 특히 구강질환치료제와 부인과질환치료제가 급증하는 등 제품군별로 고른 성장세를 보인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영업이익 또한 컨센서스와 상반기 누적을 합산하면 700억 원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업계에서는 동국제약이 화장품 브랜드 센텔리안24 등 신사업 부문의 기여도를 높이며 수익 구조 다변화를 추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1조 원 클럽에 신규 가입한 보령제약도 올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보령은 3분기 연결 매출 28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94억 원으로 51.3% 급증했다. 이는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 등 핵심 전략품목인 카나브 패밀리와 트루 패밀리의 판매 호조가 실적에 주효했다.​

특히 보령은 제품 믹스 개선과 원가절감 등을 통해 2분기 연속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10.5%를 달성하며 수익 중심 경영의 성과를 보여줬다.​

대웅제약도 3분기 별도 기준 매출 3551억 원, 영업이익 535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4%, 30.1% 증가했다.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 1조351억 원, 영업이익 1580억 원으로 누적 매출 1조 원 돌파 시점이 지난해보다 빠른 추세다.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해외 수출 확대와 간 기능 개선제 우루사의 안정적 매출이 성장을 견인했다.​

한미약품은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3623억 원, 영업이익 551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 매출은 0.1%, 영업이익은 8.0% 증가했다. 3분기 누적으로는 매출 1조1145억 원, 영업이익 1745억 원을 달성했다. 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 로수젯의 3분기 원외처방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한 589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은 3분기 매출 941억 원, 영업이익 23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6%, 57.6% 증가하며 실적 회복세를 보였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국내 제약사들이 신약 개발과 기술수출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성과를 내고 있다"며 "다만 일부 기업은 원가 상승과 저마진 제품 매출 증가로 수익성 개선이 과제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