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주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긍정 평가가 60%대 재진입 한 지 1주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4일 발표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전주 63%에서 4%포인트 하락한 59%를 기록하며 하락세로 돌아섰다. 부정 평가는 32%로 3%포인트 상승했다.
이같은 하락세 속에서 대구·경북(TK) 지역의 부정 평가(48%)가 긍정 평가(45%)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70대 이상 연령층에서도 부정 평가(43%)가 긍정 평가(42%)를 앞서 전통적 보수층과 고령층 지지세의 일부 이탈이 확인됐다.
| |
 |
|
| ▲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1.13./사진=연합뉴스 |
직무 부정 평가 이유로는 '도덕성 문제·본인 재판 회피'가 15%로 2주 연속 가장 높게 조사됐으며 이는 부정 평가를 이끄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갤럽은 "(부정 평가 이유에) '대장동 사건' 언급이 새로 포함됐다"며 "이는 월초 여당이 추진하던 일명 '재판중지법'의 여진이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과거 대통령 관련 사건의 검찰 미항소 과정이 논란을 일으킨 영향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긍정 평가 이유에서는 '외교' 관련 응답이 30%로 1위를 유지했으며 이어 경제·민생(14%), 전반적으로 잘한다(7%),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성과(5%)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소통' 관련 응답은 3%포인트 상승한 5%를 기록했다.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1심 판결 후 검찰의 항소 포기 결정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8%가 "적절하지 않다"고 답해 "적절하다"(29%)는 응답보다 높았다. 대통령 직무 부정 평가자 가운데 81%가 "부적절하다"고 답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도 78%가 같은 의견을 보였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전주 대비 2%포인트 상승한 42%를 기록한 반면, 국민의힘은 2%포인트 하락한 24%로 나타났다. 양당 간 격차는 14%포인트에서 18%포인트로 다시 확대됐다.
중도층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42%로 국민의힘(19%)보다 두 배 이상 높게 조사돼 중도층의 민주당 쏠림 현상이 강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전통적인 보수 정당의 텃밭으로 여겨졌던 부산·울산·경남(PK) 지역에서도 민주당 지지율(40%)이 국민의힘(27%)을 13%포인트 차로 앞섰다.
국회 국정감사 평가에서는 응답자의 42%가 국감 성과가 "없었다"고 답해 "성과 있었다"(23%)보다 높았다. 성과가 없다고 본 이유로는 '상대 비방·정쟁·싸우기만 함'(31%)이 가장 많이 지적돼 여야 간 대립과 정쟁에 대한 국민의 피로감이 드러났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이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 추출해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이며 응답률은 11.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펜=김주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