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재명 대통령은 오는 17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리는 중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차 출국한다. 이번에 이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를 전후해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튀르키예 3국도 방문하면서 26일까지 모두 7박 10일간 해외순방 일정을 갖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4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어 “이 대통령은 17~19일 UAE를 국빈방문하는데 이어 19~21일 이집트를 공식방문하고, 21~23일 남아공에서 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24~25일 튀르키예를 국빈방문한다”고 밝혔다.
G20은 주요8개국(G7)과 비(非)서방 신흥경제국 연합체인 브릭스(BRICS), 우리나라를 비롯해 멕시코·인도네시아·튀르키예·호주가 속한 MIKTA(믹타), 사우디·아르헨티나·유럽연합·아프리카연합 등 21개 회원이 참여 중이며, 국제경제협력 최상위 포럼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연대, 평등, 지속가능성’ 주제로 아프리카에서 처음 개최되는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22일 오전과 오후에 개최되는 1·2세션과 23일 열리는 3세션까지 모두 참석한다.
| |
 |
|
| ▲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14일 용산 대통령실 기자회견장에서 이재명 대통령 G20 순방 일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1.14./사진=연합뉴스
|
1세션은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포용적 지속가능한 성장’이라는 주제로 경제성장, 무역의 역할, 개발 재원 등을 논의한다. 2세션은 ‘회복력 있는 세계’라는 주제로 재난위험 경감, 기후변화 등을 논의한다. 3세션은 ‘모두를 위한 공정한 미래’라는 주제로 핵심광물, 양질의 일자리, 인공지능을 논의한다.
위 실장은 G20에 대해 기대되는 성과에 대해 “우리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서 제시해 합의를 이끌어냈던 글로벌 인공지능(AI) 기본사회 회복과 성장 등 비전들을 확산 논의하고, 정부가 추진 중인 재정정책·기후변화정책을 소개해 국제사회 협의를 선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명 정부의 국익 중심 실용외교를 아프리카 등 글로벌사우스로 다변화·다각화해 나가고, 믹타와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조율된 메시지를 발신하면서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키울 것”이라고 했다.
위 실장은 또 “G20 정상회의가 개최된 지 20년이 되는 2028년, 우리 정부는 한국에서 G20 정상회의를 주최할 예정”이라면서 “임기 첫해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직 수행,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에 이어서 국제경제협력 최상위 포럼인 G20 의장직까지 수임해 달라진 우리의 위상을 재확인하고,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 복원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이 이번에 방문하는 UAE, 이집트, 튀르키예는 중동의 핵심국가이다.
위 실장은 “이번 순방을 통해 한반도와 중동의 평화에 대한 상호 지지를 확인하고 국방 교류, 방산 수출을 확대할 것”이라면서 “투자 교역을 더욱 활발히 하고, 첨단기술과 보건의료 분야 등 미래 지향적 협력 분야에서도 실질적인 성과를 내겠다. 또 중동지역 문화의 허브인 이들 국가들이 K-컬처의 거점이 되도록 교류 확대의 물꼬를 트겠다”고 밝혔다.
| |
 |
|
| ▲ 전은수 부대변인이 14일 용산 대통령실 기자회견장에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의 이재명 대통령 G20 순방 일정 관련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2025.11.14./사진=연합뉴스
|
이 대통령은 UAE를 국빈방문해 18일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해각서(MOU) 서명식과 국빈오찬 등의 일정을 갖는다. 19일 한-UAE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하고, 오후에는 아크부대 장병을 접견해 격려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20일 이집트에서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과 정상회담,공식 오찬 드 일정을 갖고 같은 날 오후 카이로대학교에서 연설하고, 재외동포 및 지상사들과 간담회도 갖는다.
이 대통령은 24일 튀르키예에서 레젭 타잎 에르도안 대통령과 정사회담, 국빈만찬 등의 공식 일정을 갖는다. 25일 오전엔 한국전 참전 기념탑에 헌화하고 오후엔 재외동포·지사파 오찬간담회를 한다.
위 실장은 “튀르키예는 한국전쟁 4대 파병국으로서 우리의 전략적 동반자 국가”라며 “한국전쟁 75주년을 맞아 올해 이 대통령의 튀르키예 국빈방문을 통해 방산, 원전, 바이오 등 분야에서 양국 관계의 협력을 심화시키는 중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