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장마 여파로 배춧값 상승…전체 비용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
[미디어펜=조태민 기자]올해 4인 가족 기준 김장을 전통시장에서 준비하는 데 드는 비용이 33만8000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황 호조로 무·대파·천일염 등의 가격이 내렸지만, 가을장마와 병해 여파로 배춧값이 일시 상승해 전체 비용은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 16일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올해 4인 가족 기준 김장 비용 33만8000원으로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16일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김장재료(4인 기준)를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비용은 33만8500원, 대형마트는 40만4280원으로 각각 작년보다 2.1%와 1.2% 증가했다.

가장 큰 변동폭은 배추로 나타났다. 김장용 배추 20포기 가격은 지난해 10만 원에서 올해 12만 원으로 20% 올랐다. 총각무(3단)는 1만5000원(11.1%↑), 쪽파(2단)는 2만4000원(20%↑), 생강(800g)은 8000원(14.3%↑)으로 상승했다. 멸치액젓(1㎏)도 6500원으로 8.33% 뛰었다.

반면 작황이 좋은 무(10개) 가격이 지난해 3만 원에서 올해 2만 원으로 33.3%, 대파(2단)는 6000원에서 5000원으로 16.7% 각각 내렸다. 천일염(5㎏)은 1만 원에서 6000원으로, 새우젓(1㎏)은 2만 원에서 1만5000원으로 각각 40.0%와 25.0% 저렴해졌다.

태양초 고춧가루(3㎏)는 9만5000원, 깐마늘(2.4㎏)은 2만4000원으로 각각 작년과 가격이 같다.

물가정보는 현재 김장용 배추 가격이 강세를 보이지만 무·소금 등 가격이 하락세를 나타내 전체 김장비용은 작년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김장용 배추는 일반 배추보다 재배 기간이 길어 속이 충분히 차야 하는데, 가을장마로 배추 내부가 덜 여문 채 수분 함량이 높은 물량이 많아 현재 출하 가능한 김장용 배추가 적다는 것이다.

다행이 시간이 지나면 김장용 배추 출하량이 늘어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을장마로 무름병 확산 우려가 있었으나 재배면적 증가로 가을배추 생산량이 120만t으로 지난해보다 3.2% 늘 것으로 전망했다. 고춧가루도 작황이 좋고 정부 비축 물량까지 더해져 가격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동훈 물가정보 팀장은 "김장용 배추 품질이 충분히 좋아지고 김장에 적합한 온도가 될 때까지 기다려 2주가량 늦게 김장하길 권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장비용도 상품성 좋은 배추 출하량이 늘면서 점차 하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장 적정 시기는 일평균 4도 이하, 일최저 0도 이하로 알려져 있다. 기상청은 올해 11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12~1월은 평년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물가정보는 △중부지방은 11월 하순~12월 초 △남부지방은 12월 초~중순 △해안·남해안 지역은 12월 중순 이후를 김장 적기로 제시했다.
[미디어펜=조태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