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재명 정부는 동북아 3국인 한국, 중국, 일본의 공식 표기 순서를 관행에 따라 ‘한중일’로 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17일 언론 공지를 통해 “정부는 국제회의체에서 관련국간 별도로 합의된 룰이 없는 경우 관행과 언어적 편의 등을 고려해 국가명 표기 순서 방식을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어 “단, 한중일 정상회의 경우 그간 3국간 합의에 의해 3국간 공동문서 등에 회의 공식 명칭을 표기할 때 국명을 의장국 순(한일중)으로 표기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한중일’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불필요한 혼선이나 해석의 논란을 방지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 |
 |
|
| ▲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1.16./사진=연합뉴스
|
한편, 이전 정부인 윤석열 정부는 ‘한일중’으로 표기해 기존 ‘한중일’ 표기 관행에 혼선이 있었다.
따라서 대통령실의 이 같은 공지는 혼선을 없애는 것과 동시에 대중 유화 제스처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0월 30일~11월 1일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계기에 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한중 정상회담을 열고 “전면적 관계 복원”을 밝힌 바 있다.
이 대통령은 또 지난 14일 한미 통상·안보 조인트 팩트시트를 발표하면서도 핵추진 잠수함 도입 등 중국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사안이 담긴 것을 고려해 별도로 한중관계를 언급, “경제협력과 교류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가기로 뜻을 모았다”며 “양국간 협력을 저해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시간을 갖고 지혜를 모아 대처해 가자고 합의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