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실장 명의 담화 발표 “회담 일정·장소는 판문점 통해 협의 가능”
“‘1953년 군사분계선 표식물’ 상당수 유실…우발적 충돌 방지해야”
[미디어펜=김소정 기자]국방부가 17일 남북 군사회담을 열어 비무장지대(DMZ)내 군사분계선(MDL) 기준선 설정을 논의하자고 공식 제안하는 담화를 발표했다.

이재명 정부에서 관련부처가 남북회담 제안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방부는 김홍철 국방부 정책실장 명의의 담화를 내고 “한반도 긴장완화와 군사적 신뢰회복을 위한 것”이라며 “북측의 긍정적이고 빠른 호응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 관련 회담 제안을 위한 담화’에서 “최근 북한군이 비무장지대 내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전술도로와 철책선을 설치하고 지뢰를 매설하는 과정에서 일부 인원들이 군사분계선을 넘어 우리 지역을 침범하는 상황이 지속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에 대해 우리 군은 작전 수행 절차에 따라 경고방송, 경고사격을 통해 북한군이 군사분계선 이북으로 퇴거토록 조치하고 있다”면서 “북한군의 군사분계선 침범과 절차에 따른 우리 군의 대응이 지속되면서 비무장지대 내 긴장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칫 남북 간 군사적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도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러한 상황은 1953년 정전협정 체결 당시 설치했던 ‘군사분계선 표식물’이 상당수 유실돼 일부 지역의 경계선에 대해 남측과 북측이 서로 인식의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국방부는 “이에 우리 군은 남북의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고,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남북 군사당국 회담을 개최해 군사분계선의 기준선 설정에 대해 논의할 것을 공식 제안한다”면서 “구체적인 회담 일정, 장소 등은 판문점을 통해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최근 비무장지대(DMZ)에서 전술도로 보강작업을 하는 북한군 모습. 2024.6.18./사진=합동참모본부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은 언론 공지를 내고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시 설치했던 군사분계선 표식물이 상당수 유실돼 일부 지역의 경계선에 대해 남북 간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이에 우리 군은 남북 간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고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군사분계선 기준선 설정에 대한 논의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통일부도 언론 공지를 통해 우리의 회담 제안에 북측의 적극적인 호응을 촉구했다. 

통일부는 “군사분계선에 대한 남북 간에 인식의 차이로 비무장지대 내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고, 남북 간 우발적 충돌도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이와 관련해 무엇보다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한 우리 회담 제안에 북 측이 적극적으로 호응해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MDL 표식은 정전협정 체결 당시 모두 1292개가 일률적으로 설치됐다. 콘크리트 기둥에 철판 면을 붙여서 1m 간격으로 설치됐다. 이후 남북이 각각 관리해왔는데 1973년 우리측에서 관리하려고 들어갔을 때 북측의 도발이 있었고, 이후부터 50여년간 방치됐다고 한다. 

따라서 MDL 표식 가운데 일부는 쓰러졌을 수도 있고, 나무가 우거진 곳이어서 안 보일 수도 있는데, 현재 200여개 정도만 명확히 식별되고 있다.  

현재 남북 간 군 통신선을 포함한 모든 연락채널이 단절된 상황이어서 이번 국방부의 군사회담 제안은 유엔군사령부와 북한군을 연결하는 채널을 통해 북 측에 전달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23년 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한 바 있으며, 이후 북한은 남 측의 대화 제의에 일절 응하지 않고 있다.

남북 군사회담은 2000년 이후 2차례 국방장관 회담과 10차례 장성급 회담, 40차례 실무 회담이 열린 바 있으며, 2018년 10월 제10차 장성급 회담 이후 7년 이상 열리지 않고 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