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시설공사, 전년 동기 대비 5조3000억 증가
업계 ‘한숨 돌려’…지속 회복 여부는 미지수
[미디어펜=조태민 기자]정부와 지자체가 시설공사 입찰을 확대하며 공공 발주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다. 업계는 위축된 건설사의 숨통을 틀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다만 예산 집행이 몰리는 연말 특성상 이번 발주 증가가 지속적 확대 신호인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 정부와 지자체가 시설공사 발주를 확대하며 공공발주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18일 정부에 따르면 조달청은 오는 21일까지 63건, 1조3508억 원 규모의 시설 공사입찰을 집행한다. 이로써 이달 첫주 3일부터 셋째주 21일까지 164건 총 6조5885억 원의 공공 발주를 이어가게 됐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까지 발주된 210건 총 1조2726억 원 대비 약 5조3000억 원 증가한 금액이다.  
 
이처럼 시설 공공 발주가 확대된 것은 건설경기 둔화, 민간투자 위축 우려 속에서 정부가 인프라 투자를 통해 경기를 끌어올리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8월 기준 건축 착공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7.0% 감소한 5043만㎡를 기록했다. 착공 면적은 실제 건설이 시작되는 시점을 반영하기 때문에 감소는 곧 건설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건설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표인 건설 기성도 전년 동기 대비 18.5% 줄었다. 이는 착공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공사량의 진척도를 뜻한다. 

분양 전망도 어둡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1월 기준으로 전국 평균 아파트분양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9.4p 하락한 72.1을 기록했다. 수도권은 26.9p 비수도권은 17.7p 떨어졌다. 분양 경기에 대한 전망을 100을 기준선으로 보고, 이 수치가 100보다 낮으면 미분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업계는 분양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연말에 나오는 시설 공사 입찰이 건설사들의 어려움을 일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중소 및 지방 건설사들에게 직접적인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조달청 공사는 대부분 유지보수·소규모 공사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집행 예정인 집행 예정인 63건 중 46건은 지역제한 입찰 또는 지역의무 공동도급 대상공사다. 973억 원 상당(7.2%)을 지역업체가 수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업체만 참여할 수 있는 지역제한 입찰도 31건(476억 원)이다.

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이달 시설공사 발주가 늘어난 것은 상반기 부진했던 공공 발주에 대한 기저효과와 계절 효과로 볼 수 있다”며 “이번 발주 증가가 지속적 확대 신호인지 단기적 발주에 그칠지는 향후 남은 발주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공공공사가 늘어난 것은 긍정적”이라며 “다만 이번 확대가 건설업황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조태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