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상 권역 현장설명회·야생멧돼지 포획트랩 점검
돼지열병 신형 마커백신 전면 도입, 3색 방역캠페인 독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이동식 농림축산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은 18일 대한한돈협회와 공동 주관하는 대구·경상 권역 ‘양돈질병 방역관리 강화를 위한 현장설명회’ 에 참석하고 경북 경산시 인근 야생멧돼지 포획 현장을 점검했다.

   
▲ 이동식 농림축산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은 돼지열병 청정화 기반 구축 시작이 2026년 신형 마커백신의 전면 도입과 농가 단위의 자율 차단방역 실천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자료사진=농식품부


이번 설명회는 지난 5일 발표된 ‘돼지열병(CSF) 청정화 추진방안 및 돼지 소모성질병(PED·PRRS) 방역대책’의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돼지열병 신형 마커백신 전면 도입, 돼지 소모성질병 진단·검사 정보체계 마련 등 주요 정책 내용을 현장에 신속히 공유하고 지방정부와 양돈농가의 이해도를 높여 이행력을 강화하기 위해 진행됐다. 

이동식 방역정책국장은 현장설명회 자리에서 “돼지열병 청정화 기반구축의 시작은 2026년 신형 마커백신의 전면 도입과 농가 단위의 자율 차단방역 실천이 핵심이다”라고 강조하며, “3색 방역캠페인에 적극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신형 마커백신은 자연감염 개체와 백신접종 개체 구분이 가능하며, 기존 백신에 비해 접종 스트레스 반응이 적어 출하일령 단축 등 농가 생산성 향상도 기대된다. 연간 약 3464억 원 절감이 예상되고 있다. 

3색 방역캠페인은 양돈농장 전 구역을 오염빨강·완충노랑·청정초록색깔로 표시하고, 같은 색깔 장화를 착용해 관리하는 새로 도입한 캠페인의 일환이다.  

아울러 대한한돈협회장, 야생생물관리협회 관계자들과 함께 야생멧돼지 서진·남하 차단방어선인 경북 경산시 인근 포획 현장을 방문해 포획트랩 운영 실태와 포획 개체의 시료 채취, 폐기·소독 등 사후관리 상황을 직접 점검했다. 

현장점검에서는 야생멧돼지 포획·수색을 통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개체를 신속하게 제거하고 인위적 확산 방지를 위해 차량·장비, 주변 소독 등 차단방역에도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