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 범위 합의했지만 ‘방식’ 충돌...여 "법사위 국조" vs 야 "특위 구성"
민주 "다음 본회의까진 일방 처리 안 해...방식은 더 논의하기로"
지방선거 전 정개특위 구성에는 공감대...여야, 향후 추가 논의
[미디어펜=이희연 기자]여야는 18일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을 둘러싼 국정조사와 관련해 세 번째로 마주 앉았으나, '추진 방식'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또 협상에 실패했다. 

여야 원내대표·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약 한 시간 가량 마주 앉아 관련 논의를 진행했지만 국정조사 추진 방식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협상은 결렬됐다.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방식은 더 논의하기로 했다”며 “오늘도 결론을 못 냈다”고 말했다.

문 수석부대표는 “당분간 일방 처리는 하지 않기로 했다”며 “추후 일정 결정한 바 없는데,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만나겠다”고 밝혔다.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국조의 세부 내용, 즉 민주당이 주장한 부분과 국민의힘이 요구한 항소 포기 외압 의혹을 모두 포함하는 범위는 합의됐다”고 밝혔다.

   
▲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병기 위원장이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 국민의힘 유상범 원내수석부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2025.11.18./사진=연합뉴스


유 수석부대표는 "다만 국정조사를 추진하는 방식에 관해서 국민의힘에서는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국회 차원에서 진행하자는 입장"이라며 "민주당에서는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실시하자는 입장에서 아직까지 서로 간에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편 여야 원내지도부는 이날 회동에서 지방선거나 국회의원선거가 실시되기 전 정치개혁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선거구 획정을 논의해 보자는 데는 공감대를 이뤘다.

문 수석부대표는 "정개특위는 당내 논의를 거쳐 실시하는 것을 한 번 정리하자는 정도까지 논의가 됐다"며 "당내 논의 과정을 거쳐서 (여야가) 만나 다시 얘기하기로 한 것으로, 오늘 합의가 된 건 아니다"고 말했다.

유 수석부대표는 "정개특위를 구성해 지방선거 전 지방선거의 선거구 획정을 논의하자는 얘기가 있었고, 민주당에서도 그 부분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으로 서로 간에 결론이 났다"고 말했다.

한편 여야는 지난 11일과 12일 두 차례 회동해 국정조사 여부와 방식을 논의했지만, 국정조사 범위 등 핵심 쟁점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미디어펜=이희연 기자] ▶다른기사보기